![]() |
(왼쪽부터) 이명박 대통령,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일본총리 |
아주경제 김근정 기자= 13~14일 이틀동안 열리는 제5차 한ㆍ중ㆍ일 정상회담이 중국 베이징(北京)에서 막을 올렸다. 이명박 대통령, 원자바오(溫家寶) 중국총리,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일본총리가 한자리에 모여 3국 경제협력, 북한 미사일 문제 등 다양한 사안에 대한 심층적 논의를 나눌 예정이라고 중궈신원왕(中國新聞網)이 13일 보도했다.
특히 이번 회담에서 한ㆍ중ㆍ일 3국 FTA창설이 핵심의제가 될 것으로 보여 이목이 집중된다.
중국은 2002년 말 처음으로 3국 FTA추진안을 제시했다. 그 후 2003부터 2009년까지 3국은 공동으로 추진한 타당성연구를 통해 FTA창설이 3국간 무역장벽을 낮추고 지역시장을 확대, 3국 경제통합을 이끄는 이로운 정책이라는데 합의했다. 2010년 5월에는 3국 산관학 공동연구를 시작해 2011년 12월에 관련 공동합의문을 발표하기도 했다.
이번 제5차 정상회담 개최 전날인 12일 베이징에서 열린 제9차 한ㆍ중ㆍ일 재무장관회의에서는 3국 투자보호협정의 필요성과 연내 FTA추진의 중요성을 재차 강조했다. 이에 따라 3국 정상들이 13일 오전에 투자보호협정을 체결해 상대국 기업의 진출을 보호하고 투자를 활성화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한ㆍ중ㆍ일 3국은 전 세계인구의 5분의 1, GDP의 5분의 1을 차지하는 세계 3대 경제권이다. 오랜기간 축적된 교류와 소통의 경험, 지리적, 문화적으로 상당한 우위점을 갖고 있음에도 경제통합추진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많았다. 3국간의 상호투자가 전체 대외투자의 6%에 불과해 경제협력을 강화로 3국 경쟁력을 높일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다.
이 대통령은 3국 정상회담 외에 한•중, 한•일 양자 정상회담과 한중일 비즈니스 서밋, 원 총리 주최 만찬 등에도 참석하며 14일 오전에는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과 별도 정상회담을 가질 것으로 알려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