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국 정상은 13일 중국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5차 한·중·일 정상회의를 열고 이같이 합의했다.
원 총리는 회의 뒤 열린 공동 기자회견에서 “한·중·일 FTA 협상을 연내 개시키로 했다”며 “이는 매우 중요한 전략적 결정으로, 3국 간 FTA 건설을 조속히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한·중·일 FTA 추진은 미국, 유럽연합(EU)과 FTA를 체결한 데 이어 중국과도 추진 중인 우리나라가 ‘FTA 허브’목표를 달성하는 데 밑거름이 될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특히 한·중·일 3국은 세계 인구와 국내총생산(GDP)의 5분의 1, 교역량의 6분의 1을 차지할 만큼 규모가 커 세계경제 위기를 돌파하는 동력이 될 것이란 기대도 나오고 있다.
3국 정상은 또 이번 정상회의를 통해 3국 간 최초의 경제분야 협정인 투자보장협정에 서명했다. 이 협정에는 지적재산권 보호와 투자 자유화, 투자에 대한 내국민·최혜국 대우 등을 부여하는 내용이 담겼다.
이 대통령은 공동 기자회견에서 “한·중·일 투자보장협정은 투자자와 투자 보호, 유치국 의무를 강화하는 법적, 제도적 틀”이라며 “진출 기업을 보호하고 투자활동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상대적으로 투자자 보호에 취약했던 중국에 진출한 우리나라 기업 활동에 상당한 도움이 될 전망이다.
이와 함께 농업협력 부속문서와 지속가능한 산림관리·사막화 방지·야생동식물 보전 협력 부속문서도 채택했다.
농업분야 협력 증진을 위해 식량안보·동식물질병·자연재해 등에 공동 대응하고, 지속가능한 산림관리 등의 협력을 통해 기후변화에 적극 대처하자는 내용이다.
3국 정상은 이 밖에 △중앙은행 간 금융협력 강화 △공공외교 협력 △한·중·일 산업장관회의 신설 등 산업협력 강화 △지진·해일·화산 공동 대응체계 구축 △기상정보 교환 △교육·문화분야 협력 증진 등도 적극 추진키로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