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가 올해 1분기 아파트 청약결과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서울·수도권은 12곳 중 2곳만이 순위내 마감됐다. 반면 지방은 38곳 중 3분의 2 가량인 24곳이 순위내 마감을 거뒀다.
지방의 상승세는 대규모 국제행사 개최와 공공기관 지방 이전 등의 호재에 힘입어 하반기에도 지속될 전망이다.
뚜렷한 호전 기미를 보이고 있는 지방의 부동산 통계도 이 같은 전망을 뒷받침하고 있다.
국민은행 발표자료에 따르면 4월말 기준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는 울산이 전년 대비 19.5% 상승하며 전국(5.8%)서 가장 높은 상승폭을 기록했다. 이어 강원(18.1%)·광주(17.9%)·제주(17.3%)·충북(16.8%)·전남(14.7)·전북(14.4) 등 지방이 상승폭 수위를 차지했다.
같은 기간 아파트 전세가격지수도 울산(19%)·강원(18.7%)·광주(18.5%)·충북(18%)·충남(18%)·대구(16.5%)·전남(15.1) 등이 높았다.
미분양 감소세도 지방이 두드러졌다. 국토부의 3월말 현재 미분양 주택 현황에서 제주는 지난해말보다 41.2%의 미분양 물량을 해소했다. 대구(-29.6%)·전북(-27%)·경북(-26.8%)·대전(-21.2%)·전남(-15.8)·경남(-13.4%) 등도 감소폭이 컸다.
이처럼 부동산 지표에서 뚜렷한 상승세를 지역에서 다음달 신규 분양을 준비 중이어서 수요자들의 관심이 쏠린다.
모아주택산업은 광주 선운택지개발지구 6블록에 ‘어등산 모아엘가’ 404가구(전용 79~84㎡)를 내놓을 예정이다.
강원에서는 한라건설이 원주시 우산동에 ‘원주 한라비발디 2차’를 선보인다. 지하 3층 지상 최고 18층 11개동, 717가구(전용 59~84㎡) 규모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충북혁신도시 B1블록에서 1074가구(79~84㎡) 구모의 대단지 ‘충북혁신도시 휴먼시아’를 분양할 예정이다.
대구에서는 포스코건설이 774가구(전용 70~84㎡)로 구성된 ‘이시아폴리스 더샵 4차’를 공급한다. 복합신도시 이시아폴리스 내 마지막 분양단지로 주목 받고 있다.
한국토지신탁은 전남 목포시 옥암지구 11블록에 ‘코아루 천년가’를 분양할 예정이다. 316가구모두 전용 84m² 단일 주택형으로 구성된다. 목포 옥암지구 마지막 분양 물량으로 기반시설이 이미 다 갖춰진 상태에서 입주할 수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