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체중이거나 혈당이 높은 경우에도 폐결핵 위험이 2배 이상 올라갔다.
4일 질병관리본부와 결핵연구원이 발표한 ‘건강검진 자료를 이용한 폐결핵 발생률 조사’에 따르면 폐결핵 환자는 2006~2008년 5만6856명에서 2008~2010년 5만3550명으로 3000명 가량 감소했다.
폐결핵 발생 위험은 고연령층이 15~24세 젊은층에 비해 3.6배, 남자가 여자보다 1.6배 높았다.
체중(㎏)을 키의 제곱(㎡)으로 나눈 값인 체질량지수(BMI)가 18.5 미만인 저체중인 경우 정상체중(18.5 이상~25.0 미만)에 비해 폐결핵 발생 위험이 2.4배 높았다.
혈당이 301mg/dℓ이상으로 높으면 정상인(70∼110mg/dℓ)보다 발생 위험이 2.7배, 201~300mg/dℓ일 경우 2배 많았다.
건강보험료 납부액 하위 40%군에선 폐결핵이 발생할 위험이 1.3배 높았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2006~2008년에 발생한 결핵 환자의 67.2%, 2008~2010년엔 71.5%가 건강검진을 통해 발견됐다”며 “1차 건강검진으로 발견된 환자에 대한 재검사와 추적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2차 검진항목에서 결핵이 제외돼 건강검진에서 결핵 발견이 어려운 점을 보완하기 위해 2차 검진비를 지원하는 방안이 질병관리본부 차원에서 검토되고 있다.
본부 관계자는 “건강검진에서 결핵이 발견된 환자가 3개월 안에 의료기관에서 재검사 혹은 치료를 받은 비율은 39.8%, 1차 검진에서 결핵 의심으로 진단돼 균검사가 포함된 2차 검진을 수검한 비율이 50%를 넘지 않는다”며 “결핵 유소견자에 대해서는 철저한 관리로 모두 치료받도록 해야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