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EBS 등을 통해 시험준비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등 NEAT가 영어 격차를 심화시키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같은 제언은 정부가 NEAT를 통해 사교육을 잡겠다고 했지만, 오히려 사교육 시장을 조장할 수 있다는 우려에 따른 것이다.
김희삼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4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영어교육 투자의 형평성과 효율성’보고서를 발표했다.
김 연구위원은 “영어 투자 면에서 소득계층별로 영어 사교육비가 큰 차이를 보이며, 지역에 따라서도 영어 노출의 정도가 다르다”고 진단했다. 영어 사교육 참여율이 월소득 100만원 이하 가구의 학생은 20% 수준이지만, 500만원 이상 가구의 학생은 70% 수준으로 3.5배에 달한다는 것이다.
김 연구위원은 ‘영어격차’라는 개념을 통해 “서울 내에서도 강남권과 비강남권 간에 초등학교 저학년 때부터 영어 사교육 경험의 체계적 차이가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영어능력 면에서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 및 수능 영어성적이나 토익점수의 계층 간, 지역 간 차이가 발견된다”고 말했다.
이에 김 연구위원은 정부가 영어 공교육의 개선을 통해 영어교육 투자의 형평성과 효율성을 제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시행을 앞둔 NEAT가 영어 격차를 심화시키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영어 공교육의 개선을 통한 영어 의사소통능력의 향상과 영어 격차 해소라는 정책 기조는 향후에도 일관성 있게 유지해야 한다”며 “NEAT 2·3급은 대학입시의 변별력 확보보다는 공교육을 통한 영어표현능력 향상을 유도하는 수단으로 도입·정착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연구위원은 “NEAT의 수능영어 대체 결정을 앞둔 상황에서 4등급(A~D) 절대평가의 취지에 대한 대학들의 이해를 증진해 별도의 대학별 고사를 방지해야 한다”며 “특히 사교육 대신 인터넷·EBS 등을 활용, 저비용으로 양질의 시험준비를 할 수 있도록 해야 된다”고 진단했다.
한편, 2·3급 NEAT는 오는 6월과 7월 두차례 실시될 예정으로 대입 수시모집에서 일부 대학에서 외국어 영역 점수 대신 활용될 예정이다. 올해 말 정부가 수능 외국어 영역을 NEAT로 대체할 것인지 결정하고, 만약 수능 영어를 대체하게 되면 2015년(2016학년도) 대학입시부터 반영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