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중 수교 20주년을 기념해 3일 저녁 서울 중구 명동 한 중식당에서 한중친선협회(회장 이세기) 초청으로 20년 전 당시 한중 수교 주역들이 한 자리에 모여 만찬 간담회를 가졌다. 이날 행사에는 쉬둔신(徐敦信) 전 중국 외교부 부부장(현 중국 외교부 외교정책자문위원), 장팅옌(張庭延) 초대 주한 중국 대사(현 중한우호협회 부회장), 펑춘타이(馮春臺) 주한 중국 대사관 참사관 등 중국 측 인사와 이상옥 전 외무부 장관, 이세기 한중친선협회 회장, 황병태 제2대 주중 대사, 문대근 통일부 남북회담본부 상근회담 대표, 곽영길 아주뉴스코퍼레이션(아주경제) 대표 등 한국 측 인사가 참석해 20년 전 한중 수교 당시 비화 및 에피소드를 비롯해 한중 양국관계 발전을 위한 폭넓은 의견을 나누는 한편 한중 수교 20주년을 계기로 양국 관계가 새로운 차원의 우호협력관계를 구축하자는 데 의견을 모았다. 펑춘타이 주한 중국대사관 참사관, 장팅옌 초대 주한 중국 대사, 이상옥 전 외무부 장관, 쉬둔신 중국 외교부 외교정책자문위원, 이세기 한중친선협회 회장, 곽영길 아주뉴스코퍼레이션 대표(왼쪽부터)가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남궁진웅 기자 |
이날 행사에는 쉬둔신(徐敦信) 전 중국 외교부 부부장(현 중국 외교부 외교정책자문위원), 장팅옌(張庭延) 초대 주한 중국 대사(현 중한우호협회 부회장), 펑춘타이(馮春臺) 주한 중국 대사관 참사관 등 중국 측 인사와 이상옥 전 외무부 장관, 이세기 한중친선협회 회장, 황병태 제 2대 주중 대사, 문대근 통일부 남북회담본부 상근회담 대표, 곽영길 아주뉴스코퍼레이션(아주경제) 대표 등 한국 측 인사가 참석해 20년 전 당시 한중 수교 비화 및 에피소드를 비롯해 한중 양국관계 발전을 위한 폭넓은 의견을 나누며 교류의 시간을 가졌다.
▲한중수교 비화
한중 양국 인사들은 우선 이날 간담회 자리에서 각자 경험한 20년 전 한중 수교 당시의 에피소드를 털어놓으며 대화를 시작했다.
쉬둔신 위원은 "중한 수교는 북한의 반대를 무릅쓰고 이뤄낸 양국 간 성공적인 외교 성과"라며 "지난 20년 간 양국 관계는 세계에서 유례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눈부신 성과를 이뤄냈다"고 평가했다. 그는 특히 당시 자신을 비롯해 첸치천(錢其琛) 전 외교부 부장, 장팅옌 전 대사 등 중국측은 수교 당사자들 모두 한중 양국 관계가 오늘날과 같이 발전할 줄은 몰랐다며 감회를 전했다.
장팅옌 전 대사도 "실제로 한중 수교가 이렇게 발전할 수 있었던 것은 중국보다는 한국이 지난 20년을 잘 준비하고 예측한 덕분인 것 같다"며 "실제로 한중수교 전인 1989년 한중 간 유학교류를 위해 서울을 방문했던 베이징대 총장은 '한중수교를 서둘러야 한다'며 한중수교의 필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고 전했다.
황병태 전 주중대사는 "주중 대사 시절 장쩌민 주석을 만났을 때 큰 환대를 받았다"며 "장 주석은 '당신은 영원한 한국 대사'라고 이야기하기도 했다"며 "이에 나는 경제와 문화교류를 활성화 시켜야 한중 관계가 반석 위에 오를 것이라고 장 주석에게 건의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이에 장 전 대사는 "다음에 중국을 방문할 때에 장 주석을 예방하면 장 주석도 매우 기뻐하실 것"이라고 대답했다.
이상옥 전 외무부 장관은 한중 수교 협정의 파트너였던 첸치천 외교부 부장의 안부를 묻기도 했다. 이 전 장관은 "첸 전 부장과의 깊은 우정을 소중히 간직하고 있다"며 "꼭 안부를 전해달라"고 부탁하기도 했다.
한중 수교 직후 양국 간에는 예기치 않은 돌발 변수도 많이 발생했었다. 이세기 회장은 대표적인 예로 달라이 라마의 한국 초정 행사를 꼽았다. 이 회장은 "당시 동국대학교 학교법인이 동아일보의 후원 아래 달라이 라마를 한국에 초청한다는 이야기를 듣고선 바로 장팅옌 대사에게 연락했다"며 "이에 장 전 대사는 크게 긴장하며 '절대 안된다'고 말했고 이 문제는 결국 한국 정부가 동국대와 동아일보를 잘 설득해 취소하는 것으로 잘 마무리 됐다"며 당시의 긴박했던 상황을 떠올리기도 했다.
장 전 대사는 "당시 주한 중국대사로서 정보 네트워크와 진정한 친구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계기가 됐다"며 "이후에도 크고 작은 일들이 있었지만 한국 친구들의 도움으로 무탈하게 임기를 마칠 수 있었다"며 고마움을 표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