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페이스북은 부모 승인 하에 페이스북 접속을 허용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13세이하의 어린이는 페이스북 이용가능해진다. 대신 부모가 계정을 연동해 자녀가 맺는 친구와 사용하는 앱을 확인할 수 있다. 어린이가 게임 등 오락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요금이 부모에게 부과된다.
WSJ는 페이스북의 어린이 접속 허용이 민감한 반응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전했다. 페이스북가 어린이 고객 프라이버시를 어떻게 보호할 수 있을지 우려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페이스북은 규칙에도 불구하고 어린이가 이미 서비스를 사용하는 위험이 더 크다고 반박했다. 어린이들이 자신을 공식적으로 드러내고 통제하는 장치가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페이스북은 현재 13세이하에게 금지되어 있으나 대다수 어린이들이 새로 계정을 만들 때 나이를 속이고 이용하고 있다.
페이스북은 “현재 인터넷에서 나이 제한을 강화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며 “어린이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전했다.
최근들어 페이스북을 이용하는 미성년 수가 급증하며 페이스북은 규제가 필요하다는 압박을 받았다. 컨슈머리포트에 따르면 지난해 페이스북을 이용한 13세 이하의 어린이 수는 750만명에 달했다. 이 가운데 10세 이하가 500만명이상으로 밝혀져 충격을 안겨줬다.
페이스북은 허용되지 않은 어린이들의 이용을 해결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어린이 버전을 준비했다고 전했다. 그러나 WSJ는 페이스북이 어린이 버전을 통해 높은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무료 어린이 게임을 통해 광고 수익을 거두며 페이스북이 지난해 광고를 통해 달성한 88%의 매출 성장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WSJ는 전했다. 페이스북이 지난해 게임프로그램인 징가를 통해 얻은 수익은 37억달러에 달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