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동부발전당진이 추진해 온 국내 최초 민간 석탄화력발전소 사업이 지식경제부 허가를 취득하며 본격 궤도에 올랐다. 사진은 '동부그린발전소' 조감도. |
아주경제 이혜림 기자= 동부그룹은 동부발전당진이 추진해 온 국내 최초 민간 석탄화력발전소 사업이 지식경제부 허가를 취득하며 본격 궤도에 올랐다고 5일 밝혔다.
지식경제부는 동부발전당진과 STX전력에 대한 전기위원회 심의를 거쳐 지난 4일자로 발전사업을 허가했다. 정부가 민간기업에게 석탄화력 발전사업을 허가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동부발전당진은 총 투자비 2조2000억원을 들여 충남 당진시 석문면 교로리 일원 42만㎡ 부지에 동부그린발전소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동부그린발전소는 100만kW(50만kW급×2기)급 석탄화력발전소로, 2015년 12월말까지 건설을 완료하고 2016년 1월부터 전력 생산을 개시한다.
발전소의 설계·구매·시공의 모든 과정은 동부발전당진의 모회사인 동부건설이 일괄 수행할 예정이다. 동부건설은 이번 동부그린발전소 건설을 계기로 해외 플랜트 시장에 본격 진출할 계획이다.
동부 측은 동부그린발전소에 첨단 친환경기술을 총동원해 기존의 석탄화력발전소와는 차별화된 친환경 발전소로 건설한다고 밝혔다.
동부그린발전소는 국내 최초로 회(灰) 처리장이 없는 발전소로 첨단 리사이클링 시스템을 도입해 석탄재를 100% 재활용한다. 옥내 저탄장과 밀폐형 컨베이어벨트를 설치 운영함으로써 비산탄진이 전혀 발생하지 않으며, 폐수 재활용 첨단시스템을 도입해 폐수 방류도 전혀 없다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또한 기존 송전선로를 이용하기 때문에 철탑을 추가로 건설할 필요가 없다.
동부 관계자는 “동부그린발전소는 회처리장·폐수방류·비산탄진·철탑이 없는 4무(無)의 친환경발전소로서 향후 석탄화력발전소 건설의 새로운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동부그룹은 동부그린발전소가 국가적인 전력수급난 해소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낮은 발전단가로 대량 전력생산이 가능한 석탄화력발전의 비중이 높아짐에 따라, 동부그린발전소가 민간 최초의 석탄화력발전소로서 국가적인 전력수급 계획에 적극 부응할 거란 설명이다.
또한 동부그린발전소는 건설·운영기간 중 총 4200억원의 지방 재정수입 증가가 예상되며, 본사 및 협력업체 직원의 유입으로 건설기간 중 연인원 약 50만명의 고용유발 효과가 기대된다.
한편, 동부는 충남 당진의 ‘동부그린발전소’에 이어 강원도 삼척에 총 14조원 규모의 대규모 복합에너지단지 조성사업을 본격화함으로써 향후 국내 최고의 민간 발전·에너지 기업으로 도약한다는 계획이다.
삼척에 조성하는 대규모 복합에너지단지 조성사업은 2022년까지 단계별로 발전사업단지, 그린에너지산업단지, 청정에너지연구개발단지 등을 조성하는 대형 프로젝트로 동부는 이를 위해 지난 4월 24일 삼척시와 양해각서를 체결한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