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수산식품부가 7일 발표한 ‘2011년 양잠산업 현황 조사’에 따르면 양잠산물 농가 생산액은 2010년 대비 12.6% 증가한 500억원으로 밝혀졌다.
이번 조사는 농식품부가 통계법 제 3조의 규정에 의거, 지난해 12월 31일까지 지방자지단체·잠업관련기관을 통해 전국의 누에 사육 및 양잠 규모 현황을 파악한 결과에 따른 것이다.
조사결과 지난해 양잠농가의 수는 전년(2010년·6908호) 대비 1.7% 증가(7027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 오디의 기능성이 부각되면서 그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양잠농가 중 뽕나무 오디 생산 농가가 2010년(5702호) 대비 4.1% 증가한 5937호로 조사됐다.
반면 누에사육 농가는 고령화로 인한 사육 포기 등으로 2010년 1206호에서 지난해 1090호로 9.6% 감소했다.
전체 뽕밭 규모는 2010년 2266ha에서 지난해 2337ha로 3.1% 증가했다.
오디 재배용 뽕밭 면적은 2010년 1670ha 에서 지난해 1750ha로 4.8%증가 했지만 누에 사육용 뽕밭은 소폭으로 감소했다.
양잠농가의 주 생산 품목은 생산액 단위로 오디가 77%, 건조누에가 16%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뽕잎, 동충하초, 누에고치 등의 순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오디의 경우 전문 기술이 필요 없어 재배가 용이하며, 뽕나무식재 후 2년차부터 수확이 가능해 생산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이번 조사결과를 통해 양잠산업이 입는 산업에서 기능성 건강산업으로 전환, 발전하고 있음이 확인됐다”면서 “현재 추진 중인 양잠산물 종합단지 조성 사업 등 다양한 지원을 통해 기능성 양잠산업이 신 성장산업으로 조기에 자리매김 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양잠농가 호당 평균 소득은 719만원으로, 전체 농가의 약 60.5%가 1000만원 이하의 소득을 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1억원 이상 고소득 농가는 전국 29호로 조사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