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박(친박근혜)계인 김 의원은 평화방송에 출연해 “대선주자로서 경선에 참여하기보다는 탈당할 여지를 전제하고 가능하지 않은 경선 규칙을 들고 나와 요구한 경우는 과거에도 있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2007년 손학규 후보 측에서 지금 세분들이 요구하는 오픈프라이머리를 요구하다 결국 탈당했다”면서 “정치 역량을 보여줄 과제가 즐비한데도 별다른 준비 없이 경선 규칙만 이야기하는 것에 상당히 불길한 예감이 든다”고 우려했다.
또 “과연 그 분들이 정말 경선 규칙을 바꾸는 게 유일한 정치적 목적인가, 아니면 다른 요구조건이 있는가”라며 “당의 앞날을 위해 걱정스러운 상황이 아닐 수 없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초등학교 반장 선거도 이런 일은 없다. 지금 경선 규칙은 2007년 당시 한나라당에서 성공리에 치러진 규칙이었다”며 “마치 우는 아이 젖 준다는 식으로 좋은 게 좋다는 식으로 넘어가야 하는 상황이 참 안타깝다”고 지적했다.
그는 황우여 대표가 경선 룰 논의기구의 설치를 비박주자들에 제안한 것에 대해서도 “견디다 못해 한 궁여지책이라고 보지만 옳은 상황은 아니다”라고 비판했다.
한편 김 의원은 2007년 한나라당 대선 후보 경선 당시 박근혜 캠프의 대변인과 경선 룰 협상을 담당했던 인물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