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경선을 통해 공천을 받은 사람은 친박(친박근혜)계로 충북 청주 흥덕을에 출마, 민주통합당 노영민 의원에게 패해 낙선한 김준환 후보이고, 전략공천을 통해 당선된 인사는 울산지역 초선 의원으로 전해지면서 파문이 일고 있다.
당원명부 유출사건 대책팀장을 맡고 있는 박민식 의원은 이날 국회 정론관에서 브리핑을 갖고 “이 모 수석전문위원으로부터 당원 명부를 전달받은 예비 후보는 8명 내외로, 각각의 해당 지역구 명단이 전달된 사실이 있다”고 밝혔다.
이어 박 의원은 “올해 2월쯤 당 소속 사무보조원이 당원명부 파일을 빼내 구속된 이 전문위원에게 메일을 발송했고, 이 전문위원이 문자발송업체에 전달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그는 “100% 확인되지 않은 사실이라 피의사실 공표도 있고 오해할 측면도 있어서 누구인지 이름을 밝히기는 부적절하다”며 간접적으로 일부 사실을 시인해 파문은 급속도로 확산될 전망이다.
다만 그는 명부를 넘겨받은 예비후보자들에 대해 “친이, 친박같은 계파적 공통점이나 지역적 공통점은 전혀 발견할 수 없었다. 당원명부 유출이 이번 4·11총선 공천 과정의 공정성을 크게 훼손할 정도는 아닌 것으로 일단 파악하고 있다”며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그러면서 “당원명부를 손에 넣으면 크게 유리하다고 해서 받았는데 (공천에서) 떨어질 정도면 그것이 무슨 현실적 가치가 있겠는가”라며 “당원명부의 정치적 효용이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의외로 미미하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