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은 이날 회의에서 현재 대통령 선거일 전 180일까지 후보를 선출하기로 돼 있는 당헌을 변경해 선거일 전 80일인 9월30일까지 후보를 선출하기로 결정했다.
당 대선후보경선준비기획단장인 추미애 최고위원은 “어제 기획단 첫 회의를 갖고 런던올림픽 시작(7월 27일) 전까지는 (경선)안을 만들자고 합의했다”면서 “1차 목표로 7월 25일까지는 안을 만들기로 했다”고 밝혔다.
그는 “앞으로 논점이 생성되는 경우 매일 쉬지 않고 논의하겠다”면서 “쟁점이 정리되는 대로 전날 열린 기획단 회의 결과와 진행 추이를 최고위에 전달, 최고위와 함께 나란히 갈 수 있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김한길 최고위원도 “당 안팎에서 경선 방법과 일정에 대한 여러 의견이 쏟아지고 있고 안철수 교수 측에서도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 같다”며 “경선 준비기획단은 대선 승리의 주춧돌을 놓는다는 각오로 모든 외풍에도 흔들림 없이 일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문제는 안철수 서울대융합과학기술 원장이다. 당 밖에 있는 안 원장을 당내 대선주자들과 ‘언제 어떤 방식으로 단일화 경선을 하느냐’가 관건이기 때문이다.
민주당 대선주자들은 안 원장을 포함한 ‘원 샷 경선’으로 의견이 모아지고 있지만, 안 원장이 지난 10·26 서울시장 재보선 당시의 ‘박원순 모델’의 ‘투트랙 경선’을 고집할 경우 후보 경선 일정에 차질을 빚을 수 밖에 없다.
당 대표와 최고위원이 대선에 출마하려면 대선 1년 전 사퇴하도록 한 ‘당권-대권 분리’를 놓고도 지도부 간 이견을 보이고 있다.
또 6·9 전당대회 과정에서 제기된 모바일 투표의 실효성 문제도 여전히 논란거리다.
대표적인 진보성향의 원로학자인 최장집 고려대 명예교수는 지난 19일 국회에서 열린 국회민생포럼 특별강연에서 “난센스에 가까운 제도다. 부정적인 의미에서 혁명적인 변화”라면서 “모바일 기기와 친숙한 그룹의 정치적 특성이 과다하게 대표되고 있다. 특정한 인물에 대한 열정과 지지의 강도가 높다. 한국 정치의 참을 수 없는 가벼움을 만들고 있다”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