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현지 韓기업, 재정위기 영향권 본격 진입”

아주경제 박재홍 기자=유럽발 재정위기 리스크가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현지에 진출한 우리나라 기업들이 위기의 영향권에 본격적으로 진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영활동 파급영향 @자료=전경련
전국경제인연합회(회장 허창수)가 유럽 현지에 진출한 우리 기업들을 대상으로 한 ‘현지진출기업이 본 유로존 위기의 파급영향’ 실태조사 결과 응답자의 87.6%가 “유로존 위기로 인해 기업 경영활동에 영향을 받고 있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6일 밝혔다.

또 유럽 현지기업의 65.6%는 하반기 경영목표의 수정이 불가피 할 것으로 전망했다.

유럽위기에 따른 파급 영향으로는 매출액 감소에 대한 우려가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됐다.

부문별 파급영향 @자료=전경련
응답자의 82.8%가 유로재정위기로 인해 매출에 영향을 받고 있다고 답한 가운데, 환리스크 관리(63.3%), 현지 공급·판매망 관리(61.9%), 매출채권 회수(61%) 부문에서도 위기감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위기감에 따라 현지 기업들의 대처 방안으로는 다수(67.8%)의 기업들이 우선은 사태추이를 관망하며 현 경영활동을 유지하고 있다고 답한 가운데 26.4%는 비상경영체제를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지 기업들은 유로존 위기에 대한 전망도 비관적인 것으로 집계됐다.

53.3%가 ‘유럽 전체의 금융불안·경제침체 등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리스, 스페인 등 몇몇 국가로 위기상황이 제한될 것’, ‘미국·중국 등 글로벌 경제침체로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는 기업들은 각각 35.6%, 11.1%을 차지했다.

이번 위기의 회복 시기에 대해서도 대다수(79.8%)가 내년인 2013년 하반기 이후로 전망했으며 2014년 하반기 이후로 본 기업도 22.5%에 달했다.

현지 기업들은 또 유럽위기가 기업경영에 미치는 부정적 파급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필요한 정부 조치에 대해서는 환율변동 최소화(38.3%), 신시장 개척(24.7%), 해외금융 지원(22.2%) 등을 꼽았다.

이와 함께 응답자들은 럽경제위기가 해소되지 못하고 있는 가장 큰 이유로 ‘유로존 자채의 구조적 문제(67.5%)를 들었으며, 이번 위기를 교훈 삼아 ‘정부 재정구조의 건정성 강화(42.4%)’, ‘경제제도 및 정책의 국제경쟁력 강화(38.8%)’ 등 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전경련 관계자는 “ 유럽경제의 향방이 하반기 글로벌 경제의 최대 변수인 만큼 현지상황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이 중요하다”며 “번 조사를 통해 유로존 위기가 우리 기업들에게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