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대 국회 법정 개원일(6월 5일)을 33일이나 넘긴 7월 2일 개원식을 갖고 정상화될 전망이다.
여야는 28일 원구성 협상을 타결지었다. 새누리당 김기현, 민주통합당 박기춘 원내수석부대표는 회담에서 △민간인 불법사찰 △대통령 내곡동 사저 △언론사 파업 문제와 18개 상임위원장 배분 등 원구성 핵심 쟁점에 대해 의견 접근을 이루고 잠정 합의안을 마련했다.
새누리당 이한구, 민주당 박지원 원내대표는 29일 오전 8시 국회 귀빈식당에서 만나 최종 조율을 거쳐 합의안에 서명할 예정이다.
국회는 첫 본회의에서 국회의장단을 선출하고 내달 11일 임기가 시작되는 4명의 대법관 후보자 인사청문특위를 구성한다. 6선의 새누리당 강창희 의원(대전 중구)이 19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 후보로 지명된 상태다.
여야가 원구성 협상에 속도를 낸 것은 협상이 교착 상태에 빠지며 ‘식물국회’라는 여론의 비난에 직면한 데다, 신임 대법관 후보자 4명에 대한 국회 인사청문회 지연으로 ‘사법부 공백’에 대한 부담감을 느낀 것으로 보인다.
새누리당은 핵심 쟁점 가운데 민간인 불법사찰 문제에서, 민주당은 언론사 파업 문제에서 각각 한 발씩 물러나며 접점을 찾았다.
당초 새누리당은 민간인 불법사찰에 대해 특검을 주장했지만 결국 민주당의 국정조사 실시 요구를 받아들였다. 대신 국정조사 특위 위원장은 새누리당이 맡을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국정조사 범위를 놓고 민주당은 현 정권에서 발생한 문제로, 새누리당은 김대중·노무현 정권의 불법사찰 문제까지 포함하자는 의견이 많은 상태다.
대통령 내곡동 사저 문제에 대해서는 특검을 실시키로 했으며, 특별검사 추천권은 민주당이 갖기로 했다.
MBC 등 언론사 파업과 관련해선 국정조사나 청문회를 강력히 주장했던 민주당이 한 발 양보해 소관 상임위인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에서 논의하는 쪽으로 결론을 냈다.
18개의 상임위원장은 ‘10(새누리당) 대 8(민주당)’로 배분한다는 기존의 잠정 합의를 재확인했다. 민주당이 18대 국회에서 맡았던 6개 상임위원장직 외에 국토해양위와 보건복지위 위원장을 맡는 것으로 절충했다.
여야 원내대표단은 29일 오전 8시 회동을 갖고, 가합의안에 서명한 뒤 각각 의원총회를 열어 본회의 개최를 추인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