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외 활동이 늘어나면서 아웃도어·수영복 등 레져스포츠 매출이 작년 6월보다 35.6% 커졌다. 이와 함께 식음료와 와인 매출도 각각 13.3%·28.6%씩 늘었다.
또 여름용 구두 수요 증가로 구두 매출이 24.8% 증가했다. 선글라스·양산·패션시계 등 여름 패션소품 매출도 12.8% 커졌다.
올 봄 다소 부진했던 여성캐주얼 장르로 무더운 여름 날씨가 이어지며 원피스, 반팔 티셔츠 등 여름 단품 수요가 증가, 6% 신장했다. 특히 영캐주얼 매출은 15%가량 큰 폭으로 상승하며 여성의류 매출을 이끌었다.
이외에도 남성 수입의류와 명품 잡화도 각각 40.1%·56.4% 매출이 늘었다. 캐주얼단품, 셔츠 등의 매출도 102% 큰 폭으로 증가했다.
이에 반해 가뭄이 이어지며 장마 관련 상품 매출은 다소 주춤한 모양새였다. 작년 60% 넘는 신장률을 보인 레인부츠는 4% 늘어나는 데 그쳤다. 우산은 5.3%가량 매출이 줄었다.
한편, 지난달 29일 시작된 여름 정기 세일 첫 주말 3일 동안 실적을 살펴보면, 매출이 전년 대비 4% 늘었다.
이재진 영업전략담당 상무는 "6월은 계속되는 무더위에 바캉스, 야외 나들이 수요가 증가하면서 스포츠, 잡화, 식품장르 등이 호조를 보였다"며 "7월은 여름 정기세일을 한 달간 펼치며 보다 공격적인 프로모션과 정기 세일에 걸맞는 다양한 초특가 행사를 준비해 좋은 실적을 올릴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