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신문과 마이니치신문 등 일본언론은 2일 자체 입수한 북한 조선노동당의 내부문서를 인용, 김 국방위원장이 우라늄 농축활동을 통해 고농축 우라늄을 원료로 한 핵무기의 대량 생산을 제1 목적으로 하도록 지시했다고 보도했다.
우라늄 형 원자폭탄 개발에 대한 김 국방위원장의 의지가 공문서로 드러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북한이 지금껏 주장해왔던 핵의 평화적 이용을 완전히 뒤집은 것이다.
북한은 지금까지 우라늄 농축 활동은 전력생산을 위한 저농축이며 핵에너지의 평화이용 권리는 국가의 자주권에 관한 사활의 문제로 양보할 수 없다는 입장을 취해왔지만 이번 문건이 공개됨에 따라 논란이 예상된다.
19페이지 분량의 이 내부문서는 조선노동당이 김 국방위원장 사망 후인 올해 2월에 작성한 것으로 국제 정세 등이 상세하게 해설돼 있으며 당의 중견간부 교육용으로 작성된 것으로 보인다.
문서에 따르면 북한이 2010년 11월에 미국 과학자 등에게 공개한 우라늄 농축 시설에 대해 김 국방위원장은 “우라늄 농축기술은 민수공업에 이용하기 위해 시간을 들이는 것이 아니다”고 말했다.
또 김 국방위원장이 “(우라늄 농축이) 군사적 측면에서 원자폭탄이 된다는 것은 당연하며, 대량의 핵무기를 생산하도록 하라고 지시했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문서는 미국, 일본과의 관계에 대해 새 지도자인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양국과의 관계 개선에 대해서는 시종일관 강경자세를 유지해야 하며, 적의 늑대 같은 본질에는 변화가 없다는 것을 명심해 결코 환상을 갖지 말고 적대의식을 견지하라고 말했다”고 명기했다.
도쿄신문은 이번 내부문서에서 김정은 제1위원장이 내각의 권한을 대폭 확대해 경제 사업을 전담토록 지시했다고 소개했다.
신문은 "이는 경제분야에 대한 내각의 결정을 최고지도기관인 노동당도 최대한 존중하도록 명령한 것으로 북한이 가까운 장래에 새로운 경제 정책을 펼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내부문서는 경제 정책과 관련, “인민생활을 개선하려면 경제사업 전반에 대한 혁신적 의견을 토대로 내각 중심의 경제사업 체제 확립이 절실히 필요하다”면서 “정은 동지는 경제사업에 대한 통일적 지도를 내각에 전면적으로 맡기고 대담하게 전개하도록 했다”고 언급했다.
이에 김 제1위원장은 “경제 문제에 대해서는 앞으로 내각의 결론을 수용하는 질서를 확립함으로써 당의 지도도 경제부문 일꾼 또는 행정일꾼을 철저하게 응원해야 한다”고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배종렬 수출입은행 선임연구위원은 “지난 4월 김정은과 노동당 중앙위원회 책임일군들과의 담화에서 살펴보면 경제는 내각에 책임지라고 하는데 내각은 돈이 없다”면서 내각 중심의 경제문제 해결은 어려울 것이라 전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