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학기술부는 이성욱 단국대 분자생물학과 교수팀이 대장암세포의 간 전이를 일으키는 암태아성항원(CEA)의 원인과 원리를 규명하고, 전이 과정을 효과적으로 막는 ‘핵산앱타머’를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암태아성항원은 암 표지인자 중 하나이다.
건강검진에서 암태아성항원 수치가 높게 나오면 대장암·췌장암 등을 의심하며 대장암세포의 간 전이를 촉진하는 것으로도 알려졌다.
학계에 따르면 암세포의 간 전이는 대장암 환자 10명 중 2~7명에서 나타난다.
간으로 전이된 암세포로 인해 수술이나 항암제를 이용한 치료에 제한이 발새하며 재발로 인한 사망률을 높인다.
연구진은 암태아성항원의 특정부위(N말단 부위의 PELPK 아미노산 서열)가 대장암의 간 전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가정해 이 부위에 특이하게 결합하는 핵산앱타머를 개발했다.
핵산앱타머는 화학물질처럼 합성과 변형이 쉽고 암 조직 투과율이 높다.
원하는 목적에 맞게 균일하게 대량의 약물을 만들 수 있고 염증이나 독성을 거의 일으키지 않아 차세대 신약 물질로 떠오르고 있다.
연구진은 암태아성 항원에서 대장암의 간 전이를 일으킨다고 가정한 부위를 차단하는 핵산앱타머로 쥐 실험을 통해 대장암 세포의 간 전이를 억제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에 개발된 핵산앱타머는 대장암세포의 사멸을 유도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핵산앱타머는 또 간 전이를 일으킬 수 있는 과발현 암태아성항원과 특이적으로 결합하기 때문에 암세포의 간으로 전이 여부를 진단하거나 추적할 때도 도움이 된다.
이 교수는 “암태아성항원의 특정부위를 표적으로 하는 핵산앱타머의 개발로 대장암세포가 간으로 전이되는 과정을 원천봉쇄해 이에 따른 사망률을 낮출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