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대선주자들 '교육혁신' 경쟁… 20대 민심 구하기 박차

아주경제 김유경 기자= 민주통합당 대선주자들이 경제민주화에 이어 공교육 강화와 교육평등, 학력차별 금지 등에 방점을 찍은 '교육혁신'을 앞세워 젊은층 공략에 나섰다.
 
 제주 '경청투어'에 나선 문재인 상임고문은 17일 지역 4개 대학 대표자들과 반값등록금 등의 교육정책과 지방대 졸업자들의 구직 문턱을 낮추고, 구직차별을 해소하는 정책을 밝혔다.
 
 '학벌·학력보다 사람이 먼저다'라는 슬로건으로 대선 행보에 나서고 있는 문 고문은 취업시 이력서에 학력란을 제외하는 등의 세부안도 내놓았다.
 
 손학규 상임고문도 이날 오전 국회도서관에서 '저녁이 있는 삶' 네번째 정책발표회를 갖고, 교육기조를 경쟁에서 협동으로 바꾸고 공교육을 정상화해 학생들에게 저녁이 있는 삶을 돌려주겠다는 계획을 그려냈다.
 
 '서울대-지방거점국립대 혁신네트워크' 구축을 핵심 정책으로 내놓은 손 고문은 △정부책임형 사립대(법인 구조를 유지하되 정부가 재정과 운영을 책임지는 사립대) 도입 △전문대학의 '정부지원 직업대학'으로 개편 등의 사학정책은 물론, △작은학교ㆍ작은교실 구축 △자사고ㆍ특목고 폐지 및 일반고 전환 △고교 의무교육 시행 △일제고사(국가학업성취도평가) 폐지 등의 공교육 정상화 정책을 내놨다.
 
 교원정책으로는 △교장 공모제 확대 △초중고 교원 및 행정업무 전담인력 확충 △교원 정기연수제 및 고용휴직제 도입 등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대학서열체제를 완화, 공교육 정상화의 기틀을 마련하고 대학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것이 손 고문 측 설명이다.
 
 정세균 상임고문도 이날 서울공고에서 특강을 갖고 공무원 등 공공부문에 고졸 쿼터제를 시행하고 임금ㆍ승진시 차별을 금지하는 내용의 기회균등법, 이른바 '학력차별금지법' 제정을 약속했다.
 
 정 고문은 "고등학교만 졸업해도 중산층으로 진입할 수 있는 시대를 만들겠다"면서 "우리 시대는 능력과 기술로 학벌의 벽을 허물어야 할 때로 실업계고 졸업생에게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어 대학에 가지 않아도 성공할 길을 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공고의 이름만 바꾸는 것이 아니라 이름에 걸맞은 실질과 위상을 가질 수 있도록 하겠다"며 "한 가지 일에 매달려 마음을 쏟으면 못할 일이 없으니 희망과 용기를 갖자"고 격려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