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흥국 거시건전성 수단중 DTI규제 유효”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7-23 10:43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KDIㆍEWC ‘국제자본이동과 외환시장에 대한 금융규제’ 국제컨퍼런스 개최

아주경제 서영백 기자=신흥국들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부터 도입해 운영중인 다양한 거시건전성 수단중 특히 총부채상환비율(DTI)규제 등이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지난 19일부터 이틀간 하와이대학교 EWC(East West Center)센터와 공동으로 개최한 ‘국제자본이동과 외환시장에 대한 금융규제’ 국제컨퍼런스에서 “신흥국의 경우, 선진국보다 경기변동의 진폭이 크고 경기침체에서 회복하는 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자국 내 자본만으로는 투자재원을 충당할 수 없어 해외로부터 외화표시부채를 조달해야만 하는 현실적인 수요가 존재하므로 거시건전성감독의 필요성이 보다 높다”고 밝혔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금융의 국제화가 만성적인 자본 부족을 겪고 있는 신흥국의 경제성장, 삶의 질 향상 및 금융시스템 안정에 도움을 준 것으로 나타났지만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를 계기로 미시건전성 규제의 문제점이 가시화되면서 실물 및 금융의 과도한 변동을 제어하기 위한 거시건전성 규제의 필요성이 제기됐다고 KDI는 밝혔다.

또 신흥국의 금융시스템에서는 은행을 통한 경기진폭의 경로가 특히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자국 내 은행의 외화유동성 위험은 은행 자체의 문제라기보다 거시경제 및 대외적 영향을 받기 때문에 신흥국에서는 기존의 미시건전성 규제와 함께 거시건전성 차원의 외화유동성 관리가 필수적이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외국은행 국내지점(이하 외은지점) 중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영미 및 유럽계 외은지점 대부분은 무위험차익거래에 집중하는 사실상의 투자은행적 행태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거시건전성 감독 차원에서 외은지점의 과도한 대외차입을 규제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고 밝혔다.

특히 지난해 발생한 유럽 재정위기에도 불구하고 2010년 이후 도입된 국제자본이동 및 은행파생상품 거래에 대한 규제는 외환시장 및 외화자금시장의 안정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됐다.

현오석 KDI 원장은 “미시건전성에만 초점을 맞춘 금융규제는 금융시스템이 지닌 실제 위험을 과소평가함으로써 체계적 위험관리의 실패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거시건전성 감독수단의 마련을 불필요한 사회적 비용의 지출로 볼 것이 아니라 증장기적 관점에서 경제 균형을 찾아가려는 노력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현 원장은 “신흥국의 국제자본이동에 대한 규제는 부정적인 외부 효과의 창출이 아닌 자국의 대외경쟁력 강화를 위해 거시경제의 불균형 발생 시 우려되는 금융시스템의 안정성 훼손을 보정한다는 관점에서 고려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컨퍼런스의 발표 및 토론 내용은 향후 학술서적 출판사 중 하나인 ‘에드워드 엘가 퍼블리싱(Edward Elgar Publishing)’을 통해 보고서로 발간 될 예정이다.

한편, 이날 컨퍼런스에는 신현송 프린스턴대학교 교수, 스티즌 클라센스 IMF 부국장, 이창용 아시아개발은행(ADB) 수석이코노미스트, 로버트 맥컬리 국제결제은행(BIS) 박사, 스와티 고쉬 세계은행 박사, 아넬라 먼로 뉴질랜드 준비은행 박사, 로드리고 시푸엔테스 칠레 중앙은행 국장, 함준호 연세대학교 교수, 서상원 중앙대학교 교수, 이종은 세종대학교 교수 등 국내외 금융 감독 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