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25일 제10차 도시·건축공동위원회를 열어 '중곡역지구 지구단위계획 결정(안) 및 국립서울병원부지 특별계획구열 세부개발계획 결정(안)'을 수정가결했다고 26일 밝혔다.
![]() |
[이미지 = 중곡역지구 지구단위계획 구역 위치도, 서울시 제공] |
중곡역 일대는 기반시설이 부족한 노후된 기성 시가지로, 역세권 기능이 부족해 도시계획 정비가 시급한 지역으로 꼽힌다. 특히 노후된 국립서울병원이 입지해 있어 지역주민들로부터 이전 요구가 지속적으로 제기되던 곳이다.
특히 국립서울병원 부지는 2003년초부터 이전 및 재건축 등 주민과 지자체 간의 갈등이 심화돼, 2009년 국무총리 산하 갈등조정위원회를 통해 민·관간 협의를 거쳐야 했을 정도다. 당시 위원회 주관 협의로 해당 부지는 종합의료복합단지를 단계별 개발계획을 거쳐 조성하기로 합의됐다.
국립서울병원 부지는 환자에 대한 각종 진료와 입원 등의 연속성 유지가 절실한 병원이라는 특성상 단계별로 개발된다. 1단계로 ▲정신건강연구시설 ▲임상센터 ▲부속병원 등이 들어서며, 2단계로 ▲의료행정기관 ▲의료바이오벤처시설 ▲업무시설 ▲민간 R&D 연구소 ▲판매 및 체육시설 ▲지역주민 복지시설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이번 결정으로 해당 지역은 동북권을 대표할 종합의료행정타운으로서의 새로운 가치가 창출되는 것을 물론 주변 역세권의 개발도 이뤄질 것이라고 예상된다"며 "또한 민·관 협력 절차를 통해 주민 민원을 해소하고 국책사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한 대표적인 윈윈(Win-Win)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
[이미지 = 국립서울병원 배치도, 서울시 제공] |
![]() |
[이미지 = 국립서울병원 조감도, 서울시 제공] |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