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올 상반기 건축허가면적은 6637만1087㎡(12만1191동)로 지난해 상반기 6460만3000㎡(11만7546동)보다 2.7% 증가했다.
착공면적은 5132만1876㎡(10만838동), 준공면적은 5567만266㎡(8만6244동)으로 전년보다 각각 5.5%, 19.1% 늘었다.
서울·수도권은 허가·착공면적이 2578만2444㎡, 1789만5637㎡로 전년 상반기 대비 284만9994㎡(10.0%), 84만261㎡(4.5%) 각각 감소했다. 반면 지방은 허가·착공면적이 4058만8643㎡, 3342만6239㎡로 같은 기간 12.8%, 11.8% 증가했다.
준공면적은 서울·수도권(2472만7071㎡)과 지방(3092만3195㎡) 모두 각각 약 503만8000㎡(25.6%), 390만6000㎡(14.5%) 늘었다.
용도별로는 건축허가의 경우 주거용이 2560만9620㎡, 상업용 1672만1091㎡로 1년 전보다 약 207만1000㎡(8.8%), 191만9000㎡(13%) 증가했다. 공업용(844만1539㎡)·교육사회용(501만2613㎡)은 같은 기간 136만4000㎡(16.2%), 21만6000㎡(5.3%) 줄었다.
준공은 주거용이 약 132만1000㎡(8.7%), 상업용 164만3000㎡(15.7%), 공업용 462만2000㎡(54.3%), 교육·사회용 144만1000㎡(30.6%) 모두 증가했다.
건축허가는 주거·상업용 건축물의 비중이 2010년 상반기 31.4%·23.5%에서 올 상반기 38.6%·25.2%로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공업과 교육·사회용은 같은 기간 15.5%에서 12.7%, 11.6%에서 7.6%로 차지하는 비중이 떨어졌다.
주거용 건축물 허가면적은 서울·수도권은 전년 동기와 비교해 감소세였지만, 지방은 큰 폭의 증가세를 나타냈다. 지방의 건축인허가 물량이 증가한 것은 공공기관 지방이전과 수익형 부동산 수요 증가 등 복합적인 원인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국토부는 분석했다.
특히 아파트는 수도권이 20.4% 감소한 반면 지방은 34.8% 증가했다. 연립주택과 다세대주택은 지방에서 각각 134.2%, 56.5%의 급증세를 기록했다. 단독주택도 1년 전보다 허가가 14.1% 늘었다.
준주택으로 분류되는 오피스텔은 올 상반기 허가면적이 87만1000㎡로 전년 동기(47만9000㎡)보다 124.5% 급증했다. 특히 광주(13만6386㎡·3140%)·대구(31만6394㎡·1509%)·충남(11만9041㎡·1306%) 등 지방에서 뚜렷한 증가세를 보였다.
소유주체별 허가면적은 개인과 법인이 각가 3.3%, 7.9% 증가했지만 국공유는 31.3% 감소했다.
지역별로는 개인의 경우 서울·수도권에서 3.0% 감소했지만 지방은 7.1% 증가했다. 국공유는 지방에서 14.3% 증가한 반면 서울·수도권은 59.7% 급감했다.
규모별로는 연면적 100㎡ 미만 건축물의 건축허가가 5만1496동로 42.5%를 차지했고, 이어 100~200㎡ 2만3384동(19.3%), 300~500㎡ 1만7821동(14.7%) 등 순이었다.
착공은 100㎡ 미만이 4만3217동(42.8%), 100~200㎡가 1만8967동(18.8%), 300~500㎡ 1만5438동(15.3%) 순이었다.
멸실 건축물은 주거용과 상업용이 각각 234만310㎡(2만456동)·156만9457㎡(5595동)이었다. 공업용과 교육사회용은 70만1000㎡(1146동), 25만9000㎡(342동) 멸실됐다.
주거용은 단독주택과 다가구주택이 11.6%, 20.0% 증가했다. 서울·수도권이 5.9% 증가하고 지방은 17.2% 감소했다.
나머지 상업·공업·교육사회용 건축물은 수도권에서 각각 54.7%, 87%, 103%로 급증했고, 지방은 13.3%, 16.7%, 30.0%로 상대적으로 소폭 증가에 그쳤다.
통계에 대한 세부자료는 건축행정시스템_세움터 (http://www.eais.go.kr) 및 국토부 홈페이지 (http://www.mltm.go.kr)를 통해 조회할 수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