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파이낸셜타임즈는 런던을 찾은 방문객들이 주요 호텔이나 쇼핑가로 몰리면서 ‘유령 도시’ 효과를 만들어내고 있다고 3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올림픽으로 인한 단기적인 경기 진작 효과를 노렸지만, 방문객들이 런던 시내의 호텔과 극장 등을 기피하면서 결과는 이에 못 미친다는 지적이다.
이번 올림픽은 10만 여명의 외국인 방문객을 끌어 모을 것으로 예상됐지만 이는 한해 30만 명으로 추산되는 런던 방문객 수에 비해 크게 뒤처지는 수치다.
경제효과가 예상에 미치지 못한 것은 런던 시내 곳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방문객들로 북적거려야 할 대영박물관과 런던 타워 등 대표적 관광명소들에서도 관광객의 발길이 뜸하다.
영국관광명소협회(The Association of Leading Visitor Attractions, ALVA)에 따르면 지난 2주간 방문객이 지난해에 비해 30~35% 가량 줄었다. 버나드 도나휴 ALVA 대표는 “입장하기 위한 대기자가 거의 없는 상황이라는 회원사들에게 보상하기 위해 노력 중 ”이라며 한숨을 내쉬었다.
한산한 거리 탓에 시내 극장들도 죽을 맛이다. 6개의 극장을 소유한 니카 번스 나이맥스 시어터스 대표에 따르면 티켓 판매는 여름동안 30% 떨어질 전망이다.
호텔들은 생각만큼 예약이 늘지 않아 가격을 내리기 시작했다. 올리픽 기간 중 호텔 가격이 6월 2주보다 25% 떨어졌다.
당초 영국은 올림픽으로 인해 큰 경제적 효과를 기대했다. 하지만 그 같은 예상은 들어맞지 않을 것이란 의견이 지배적이며, 실제로 경기 진작 효과는 나타나지 않고 있어 영국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