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 콜라 4-MI 함량 '안전한 수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8-08 15:1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전운 기자= 식품의약품안전청은 국내 유통 중인 8개사 16개 콜라 제품의 4-메틸이미다졸(4-MI) 함량을 조사한 결과, 평균 0.271ppm(mg/kg)으로 미국, 영국, 일본 등과 유사하거나 낮은 수준이라고 8일 밝혔다.

코카콜라는 최소 0.188ppm에서 최대 0.234ppm을 함유한 것으로 조사됐으며, 펩시콜라의 경우 최소 0.247ppm에서 최대 0.459ppm을 함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에서 유통 중인 코카콜라의 4-MI 평균함량의 경우 미국은 0.4ppm, 캐나다·맥시코·영국은 0.4~0.45ppm, 일본은 0.2ppm, 브라질은 0.75ppm 수준이다.

식약청은 "이번에 조사된 콜라 중 4-MI의 노출량은 평균 0.271ppm으로 카라멜 색소 중 4-MI 기준인 250ppm에 비해 약 0.1% 수준으로 매우 안전한 것으로 평가됐다"고 강조했다.

앞서 미국 FDA는 자국내 유통중인 코카콜라에서 검출된 4-MI 함량(103㎍, 355㎖ 기준)은 70㎏ 성인이 하루에 1000 캔 정도 마셔도 안전한 수준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한편 4-MI는 식품이나 음료 제조 과정에서 가열이나 갈색화 반응, 발효 공정 등에서 자연적으로 미량 생성되며, 콜라의 경우에는 콜라의 원료인 카라멜 색소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4-MI가 부산물로 생성될 수 있다.

우리나라, 미국, 유럽, Codex 등 대부분의 국가는 카라멜 색소 (Ⅲ,Ⅳ) 제조과정에서 4-MI를 250ppm 이하로 기준을 설정해 관리하고 있다.

※ 미국 공익과학단체 발표자료 (CSPI, ‘12.6.26)
○ 4-MI 함유량의 차이는 콜라에 첨가하는 카라멜 색소의 양(0.13~0.35%)과 각각의 콜라에 사용된 카라멜 색소의 차이에 따른 것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