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은행보다 높게 적용되는 주택담보대출 담보인정비율(LTV)이 주요 점검 대상이다. 부동산 경기침체로 집값이 꾸준히 하락하면서 담보가치가 대출금액을 하회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상가와 토지 등을 담보로 한 대출 비중이 은행보다 훨씬 높은 점을 감안해 이에 대한 점검도 함께 실시할 방침이다.
금융감독원은 제2금융권 금융회사들로부터 부동산담보대출 관련 자료를 넘겨받아 실태 조사를 실시한다고 12일 밝혔다.
제2금융권의 부동산담보대출 잔액은 211조원 규모다. 이 가운데 주택담보대출이 82조2000억원, 상업용 부동산 및 토지 등 담보대출은 128조8000억원 수준이다.
금감원은 우선 주택담보대출의 LTV 수준을 점검키로 했다. 상호금융에 적용되는 LTV는 50∼65%, 저축은행과 캐피탈은 60∼70%, 보험사 50∼60%로 대부분 은행의 50∼60%보다 높은 수준이다.
특히 LTV 한도를 초과한 대출을 집중적으로 살펴볼 예정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과거에는 제도의 허점을 이용한 편법 대출로 LTV를 80~90%까지 적용하는 경우도 많았다”며 “가계부채 부실이 가시화할 경우 가장 먼저 문제가 될 수 있는 게 제2금융권의 LTV 한도 초과 대출”이라고 지적했다.
집값 하락으로 주택 담보가치가 대출금액에도 미치지 못하는 사례까지 나오고 있어 자칫 연체율 상승 등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담보가치 평가도 허술하게 이뤄지고 있다는 게 일반적인 평가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은행들은 3~6개월마다 담보가치를 재평가하지만 제2금융권은 그렇지 않아 부동산 시장 여건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상호금융 단위조합의 경우 2∼3명의 직원이 부동산담보대출 업무를 총괄하고 있는 경우가 태반으로 제대로 된 담보 평가를 기대하기 어렵다.
금감원은 상가와 공장, 토지, 임야 등을 담보로 제공하는 상업용 부동산 및 토지 등 담보대출에 대해서도 실태 조사에 나설 방침이다.
이들 대출은 LTV가 적용되지 않는 데다 수익성이 높은 만큼 위험성도 큰 게 사실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제2금융권의 영역이 넓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기가 쉽지 않지만 가계부채 문제가 국가 경제의 건전성을 좌우할 중요한 변수이기 때문에 부실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조치를 취하겠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대출 부실화 정도가 위험한 수위에 이르렀다고 단정하기는 어렵지만 연체율 등 건전성이 은행 대출에 비해 악화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제2금융권 대출이 고위험 고객을 상대로 리스크를 감안해 고수익을 노리는 구조라 안심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