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경기도에 따르면 평화누리길 탐방객들의 안전을 위해 평화누리길 중 치안 치약지역으로 분류된 17곳에 대해 방범용 CCTV를 설치할 계획이다.
CCTV가 설치되는 곳은 김포 대명항과 고양 행주IC, 파주 탄현산단, 연천 설운교 주변 등이다.
도(道)는 이를 위해 지난 8~13일까지 평화누리길 12개 노선 184㎞를 대상으로 치안취약지역, 재해위험지역, 안내표지판 등에 대해 전수 조사했으며, 이 결과를 토대로 17곳을 치안 취약지역으로 분류했다.
도(道)는 내년도 예산에 방범용 CCTV 설치 예산을 반영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도(道)는 평화누리길 유지, 관리를 위해 내년부터 김포와 고양, 파주, 연천 등 4개 지자체별로 각 1~2명씩 ‘평화누리길 지킴이’를 채용, 운용한다는 계획이다.
‘평화누리길 지킴이’는 매일 담당 노선을 순찰하며, 탐방객들의 안전을 비롯해 시설관리 등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밖에도 도(道)는 관할 경찰서 공조해 취약지역에 대한 순찰을 강화키로 하는 한편 재해위험지역과 청소가 불량한 화장실, 잘못 표시된 안내표지판 등은 올해 안에 정비할 계획이다.
한편 도(道)는 평화누리길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내년부터는 경기관광공사에 평화누리길 운영업무를 위탁할 예정이다.
그동안 평화누리길이 조성된 4개 지자체에서 운영업무를 개별적으로 추진, 탐방객들에게 혼선을 초래했다는 판단에서다.
이성근 도(道) DMZ정책과장은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탐방객 스스로가 나 홀로 여행, 야간 여행을 자제하는 등 도보여행자 안전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최선”이라며 “여행자 스스로 경찰청에서 무료 배포하는 스마트폰용 SOS 앱을 설치하는 등 치안사고 예방을 위한 자발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