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5호 태풍 볼라벤이 북상하고 있는 가운데 28일 오후 서울 강남역 일대를 지나가는 시민들이 강풍을 헤치며 지나가고 있다. (사진=아주경제 이형석 기자) |
특히 강풍만 놓고 보더라도 2003년 태풍 ‘매미’와 비슷한 위력을 가진 것으로 알려지면서 태풍의 평균피해액인 3조원을 상회하는 것 아니냐는 추측도 나오고 있다.
28일 현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지난 10년(2002~2011년)간 태풍과 호우로 인한 피해액은 연평균 1조 9425억 원에 달한다. 그러나 태풍 피해가 가져오는 경제적 악영향은 단순 피해액을 뛰어넘는다.
같은 기간 피해복구액은 피해액의 1.6배 규모인 연평균 3조 1766억 원에 달했다. 태풍이 몰아친 후 물류망, 생산 시설 파괴돼 경제활동이 둔화하는 2차 피해가 크기 때문이다.
특히 볼라벤으로 2003년 태풍 ‘매미’가 남긴 피해에 못지않을 것이라는 예상도 나오면서 경제에 끼칠 영향도 적잖을 것으로 전망됐다.
당시 매미로 인한 피해액은 5조 6000억 원이나 됐다. 최대 순간 풍속 60.0m의 바람을 몰고 온 매미로 131명이 사망하고 6만여 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또 건물 5만987채와 농경지 4847헥타르(ha)가 피해를 당하고 선박 5928척이 파손되는 등 재물피해도 컸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수석연구원은 “그동안 우리의 태풍 대응능력도 발전했기 때문에 실제 피해액은 과거보다 적을 수 있다”라며 “국가 차원의 종합 위험관리 강화로 태풍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