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LG CNS가 오는 12월 '부산 글로벌 클라우드 데이터센터'에 국내 최초로 컨테이너 데이터센터를 완공한다. LG CNS 직원이 새롭게 구축되는 컨테이너 데이터센터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제공 LG CNS] |
컨테이너 데이터센터는 통상 서버를 수용하는 정보기술(IT)컨테이너와 발전시설, 냉각설비, 항온항습장치 등 운영설비를 탑재하는 서비스 컨테이너로 구성된다.
이 센터는 구축의 신속성과 함께 고효율, 이동성, 확장성 등의 장점 때문에 최근 주목을 받고 있다.
LG CNS는 부산데이터센터 1층 외부에 20피트(feet) 규모 컨테이너 데이터센터를 구축할 계획이다.
최신의 고성능 서버 500여 대를 수용할 수 있는 규모이다. 일반적으로 데이터센터를 구축하는 데는 최소 1년 이상이 소요되지만 컨테이너 데이터센터는 이를 4~5개월로 단축시킬 정도로 신속한 구축이 가능해 오는 12월 부산데이터센터와 함께 완공할 예정이다.
LG CNS는 국내 컨테이너 데이터센터 시장이 아직 초기 단계라는 점을 고려, 고객들의 불안을 해소할 수 있도록 IT컨테이너는 시장에서 신뢰도를 검증 받은 업체의 기존 제품을 활용할 계획이다.
서비스 컨테이너에 해당하는 핵심 운영 기술은 모두 최신의 LG CNS 자체 솔루션이 적용된다.
LG CNS는 부산데이터센터의 면진설비 위에 컨테이너 데이터센터를 구축해 최고 수준 지진 대비 안정성을 확보했다.
지하 면진설비층의 빈 공간을 활용해 이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를 별도의 에너지 소비 없이 떨어뜨릴 수 있는 공기미로를 설계해 지하로 유입되는 바깥 공기(외기, 外氣)의 온도를 낮춰 서버 냉각에 활용토록 했다.
기존 컨테이너 데이터센터는 컨테이너 자체 공조설비에 문제가 생길 경우, 서버를 냉각할 방법이 없어 안정성에 문제가 생긴다.
LG CNS의 컨테이너 데이터센터는 최고 수준 데이터센터 전용건물인 부산데이터센터의 전력 및 냉방 인프라를 백업 자원으로 활용한다. 전력 및 냉방 인프라 이중화로 안정성을 극대화한 것이다.
LG CNS는 이번에 구축되는 컨테이너 데이터센터를 빅데이터 등 첨단 서비스에 우선 활용, 국내 컨테이너 데이터센터 선두주자로서 국내외 고객들에게 검증된 컨테이너 데이터센터 모델을 제시하고 서비스 선택의 폭을 넓힌다는 계획이다.
김종완 LG CNS 인프라솔루션사업부문장은 “LG CNS가 대한민국을 대표할 글로벌 클라우드 허브인 부산데이터센터와 더불어, 국내 최초로 컨테이너 데이터센터를 선보이게 됐다”며 “빠른 구축이 가능한 컨테이너 데이터센터의 장점과 함께 안정적인 무중단 서비스를 보장하는 LG CNS만의 컨버전스 모델에 대한 해외 고객들의 관심 또한 매우 높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