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후보는 이날 민주화운동의 성지로 꼽히는 경기 남양주시의 마석 모란공원을 찾아 이같이 밝히면서도 “가해자들을 처벌하거나 문책하자는 게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문 후보는 이곳에서 고(故) 전태일 열사와 전 열사의 어머니인 이소선 여사, 문익환 목사, 김근태 전 민주통합당 상임고문, 조영래 변호사, 최종길 전 서울대 교수 등의 묘역을 잇따라 참배한 후 “우리가 민주주의를 이만큼 누리고 있는 것도 민주주의를 위해서 평생을 헌신하고 희생해주신 분들 덕분”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참여정부 동안 진실과화해위에서 접수되고 조사했던 사건만 1만2000여건이고, 진실규명한 사건만 8500여건 됐는데 아직도 많은 사건들을 제대로 규명하지 못했다”며 “참여정부때 마치지 못했던 과거사에 대한 정리작업들을 마무리할 것을 약속드린다”고 밝혔다.
또 긴급조치 위반 사건에 대해서는 법률로 일괄적으로 무효화하는 조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문 후보는 “긴급조치로 인해서 피해를 입은 사법피해자들의 건수만 1400여건”이라며 “(이분들은) 보상을 바라고 민주화운동을 했던 것이 아니라 역사의 대의를 위해 운동을 했기 때문에 지금 와서 개인적으로 명예회복을 하기위해 재심청구를 잘하지도 않는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긴급조치의 경우에는 이미 위헌판결이 났고 건건이 법원의 무죄판결에 의해서 무죄라는 것이 확인되고 있기 때문에 법률을 제정해서 일괄로 무효화하는 것이 충분히 가능하고 법치주의에도 위배되지 않는다”며 “제가 정권교체 하게 되면 그 방향으로도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약속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