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강기윤 의원이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8월까지 서울에서 노숙인이 가장 밀집한 지역은 서울역(249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204명에서 45명 증가한 것이다.
지난해 8월 서울역 노숙인 퇴거조치 후 일부 노숙인들이 영등포역으로 옮겨가면서 오히려 영등포역의 노숙인은 지난해 86명에서 올해 134명으로 48명 늘어 2위를 기록했다. 3위는 용산역으로 총 72명의 노숙인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시청과 을지로입구 주변에 57명, 서울시의회 지하도 20명, 종각 지하도 16명, 종로3가 지하도 4명, 종모공원 3명, 잠실과 청량리역 등 기타 지역 20곳에도 노숙인들이 몰려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내 전체 노숙인은 지난해 497명에서 올해 8월 19.5% 증가한 594명이었다.
현재 시내 52개 노숙인 보호시설의 정원은 4031명이지만 이용자는 78.8%인 3천177명 뿐인 것으로 집계됐다. 시는 노숙인을 위한 자활시설 34곳, 재활시설 7곳, 요양시설 5곳, 일시보호시설 4곳, 종합지원센터 2곳을 운영하고 있다.
강 의원은 “서울시가 각 법인에 시설운영비 등을 지원하는데도 운영이 효율적이지 못하다”며 “노숙인들의 시설 편입에 대한 대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