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각종 재난으로부터 피해를 본 시민의 정신적ㆍ심리적 충격을 완화하고 후유증을 예방하기 위해 ‘찾아가는 심리안정 지원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4일 밝혔다.
이를 위해 시는 재난 현장에 투입되는 경찰서, 소방서 직원들이 직접 피해자들로부터 심리상담 신청서를 받을 수 있도록 서울지방경찰청, 소방재난본부와 협의해 업무협조체계 시스템을 개선했다. 이전에는 경찰서, 소방서에서 사건개요만 시에 통보해 개인정보 보호 등의 이유로 시민의 연락처 파악이 어려웠다.
신청서가 접수되면 시 재난심리지원센터의 상담전문가가 상담자의 일정에 맞춰 무료로 상담을 진행한다.
상담은 의사, 교수, 간호사 등 심리상담 자격증을 소지한 전문가가 맡고 시는 상담에 필요한 모든 비용을 지원한다. 시는 상담전문가들의 역량을 키우기 위해 매년 1회 이상 전문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무료 심리안정 상담은 사전에 재난피해자의 심적 장애요인을 치료 상담하는 것으로, 개인 의료비용을 절약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국가의료비용도 절감하는 성과가 있을 것으로 시는 보고 있다.
신상철 시 도시안전과장은 “재난은 소중한 생명과 재산을 앗아가는 것에만 그치지 않고 재난을 경험한 이들에게 깊은 상처를 남긴다"며 “앞으로도 재난피해 시민을 위해 심리안정지원 서비스를 확대해 많은 사람들이 마음의 상처를 치유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