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위원회는 우리나라가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이 11일 발표한 2012년 ICT 발전지수(IDI)에서 조사 대상 155개국 중 1위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ITU의 ICT 발전지수는 회원국 간의 ICT 발전정도를 비교.분석하기 위한 지수로 국가 간 ICT 발전경로, 디지털 격차, 성장 잠재력 등을 평가하는 것이 목적이다.
올해 ICT 발전지수 평가에서는 우리나라가 1위, 스웨덴이 2위를 차지했고, 덴마크, 아이슬란드, 핀란드가 뒤를 이었다.
영국은 9위, 미국은 15위였고 아시아 지역 국가들 중에서는 일본 8위, 홍콩 11위, 싱가포르 12위, 마카오 14위로 우리나라를 포함해 20위 내에 5개국만 포함됐다.
ICT 발전지수는 ICT에 대한 접근성, 이용도, 활용력 등 3개 부문으로 구성돼 우리나라는 이용도 및 활용력 부문에서 세계 1위, 접근성 부문은 11위로 평가됐다.
유선전화 회선 수는 3위, 인터넷 접속가구 비율은 1위, 무선 초고속인터넷 가입건 수는 3위, 유선 초고속인터넷 가입건수는 4위, 고등교육기관 총 취학률은 1위 등으로 최상위권을 기록했다.
선불식 심(SIM) 개통 건수를 포함한 인구 100명당 이동전화 가입 건수는 66위, 해외사이트 이용률이 낮은 이유로 인터넷이용자 대비 국제인터넷대역폭은 70위, 컴퓨터 보유 가구 비율은 21위였다.
방통위는 “이번 발표 결과로 한국의 ICT 환경이 세계 최고수준임이 나타났지만 산업.규제환경 등 ICT 인프라 외적인 요소로 ICT산업의 경쟁력이 떨어지고 있다는 평가가 일부 민간 국제지수 등을 통해 나온 데 따라 우수한 ICT인프라를 활용해 ICT산업의 전반적인 경쟁력이 높아지도록 적극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