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건설사, 매출 늘었는데 영업이익 40%↓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11-13 11:13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이준혁 기자=최근들어 건설업계의 수익성이 급격하게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부동산시장 장기침체에 과당 경쟁으로 인한 저가수주 때문에 마진율이 떨어지며 메이저 건설사도 비상 상황이다.

13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과 건설업계에 따르면 시공능력평가 순위 10위 이내 건설사 중 현대건설, 삼성물산 건설부문, 대우건설, GS건설, 대림산업, 현대산업개발 등 6개사의 올해 3분기 영업이익 합계는 총 5714억3600만원이다.

이는 지난해 3분기 6개사 영업이익 합계 9547억8400만원에서 40.15% 떨어진 수치다. 이들 6개사 3분기 매출 합계가 지난해 11조3648억원에서 13조4982억원으로 18.77% 증가한 것과 대조를 이룬다.

이들 건설사는 지난해에 이어 연속 2년간 10대 건설사에 포함된 메이저 건설사로, 지난해 10위 밖이던 두산중공업(올해 10위)과 3분기 실적을 따로 발표하지 않은 포스코건설, 롯데건설, SK건설은 조사대상에서 빠졌다. 삼성물산의 경우 건설부문의 실적 수치만 반영했다.

현대산업개발(-75.07%), GS건설(-73.81%)의 영업이익이 70% 넘게 떨어졌고 삼성물산(-50.40%), 대우건설(-24.94%), 현대건설(-19.20%), 대림산업(-13.82%)도 두자릿수 영업이익 하락률을 나타냈다.

삼성물산을 제외한 5개사 3분기 순이익 합계는 지난해 5397억4900만원에서 올해 3898억2000만원으로 27.78% 떨어진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보다 주요 건설사들의 급갑한 것은 해외건설사업 이익률 저하 및 국내 주택경기 부진이 동시에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몇년 전까지만 해도 중동을 비롯 해외에서 우리 업체의 공사 마진율은 최고 20%에 달했지만 지난해부터 10% 안팎으로 떨어졌다고 이 관계자는 덧붙였다.

국내 건설경기침체로 한국 업체끼리 해외 시장에서 저가 수주 경쟁을 벌인 탓도 있지만 유로존 재정위기로 유럽 건설사들이 가격을 낮추고 제3국 시장을 공략해서 우리 기업의 출혈이 더욱 커졌다는 분석도 나온다.

부동산 시장 침체도 무시못할 요인이다.

보통 아파트 분양의 경우 2~3년 뒤 준공 무렵 건설사들이 많은 돈을 확보할 수 있는데, 2009년께 주택경기 한파로 인해 분양 물량이 갑자기 줄어 올해 영업이익 액수가 지난해보다 작을 수 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당분간 주택경기가 살아날 조짐을 보이지 않자 건설사들이 주택건축 부문의 대손충당금을 평소보다 많이 쌓고 있는 점도 이익률 하락의 주된 원인이다.

이에 건설업계는 주택 경기의 해결이 어려운 상황에서 4분기에도 건설업계 수익성 개선은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보는 모습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