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금융•무역 전반에 걸쳐 전문가로 통하던 왕치산(王岐山) 국무원 부총리가 중앙기율검사위 서기로 임명된다는 점이 눈에 띈다.
국제금융센터 이치훈 연구원은 “인터넷이 발달하면서 서민들의 지도층 부패에 대한 불신이 많다”며 “이를 잘 알고 있는 시진핑이 왕 부총리에 칼자루를 맡김으로써 부패 문제를 척결하고 실물경제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겠다는 의지로 해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최태섭 박사는 “전반적인 거시 경제분야에 있어서 앞으로 리커창 총리와 함께 장가오리(張高麗) 톈진시 서기와 마카이(馬凱) 국무원 비서장이 각각 상무 부총리와 재정ㆍ금융담당 부총리를 맡아 두 인물이 리 총리를 보좌하며 경제정책을 이끌어 갈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장가오리 텐진(天津)시 서기와 함께 장더장(張德江) 국무원 부총리는 둘 다 경제통이면서 성장을 중시하는 정책을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어 앞으로 성장 중심의 중국 경제 정책을 이끌 핵심인물이다.
이에 반해 리커창(李克强) 상무 부총리는 성장보다는 분배를 중시하는 경향이 있다.
재정ㆍ금융담당 부총리를 맡을 것으로 예상되는 마카이 국무원 비서장은 1986년부터 1993년까지 물가관리를 담당한 적이 있기 때문에 앞으로 중국의 물가안정에 힘쓸 것으로 보인다.
시진핑이 이끄는 5세대 지도부의 경제정책에 대해서 전문가들은 단기적으로는 성장과 분배, 두마리 토끼를 잡기 위해 노력하겠지만 장기적으로는 민생현안 해결을 위한 분배에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전망했다.
이치훈 연구원은 “중국 내 인구 고령화 문제와 함께 저소득층과 절반이 넘는 농민들의 소득향상을 위해 사회보장제도 정비 및 최저근로소득 수준 향상 등 사회불균형 구조를 해결하기 위한 분배 중점의 정책이 펼쳐질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코트라 중국사업단 김윤희 책임연구원은 “중국의 경제정책은 다른 국가와 달리 중장기로 움직이기 때문에 기존 후진타오(胡錦濤) 지도부가 강조했던 ‘화해 사회’를 강조하며 성장과 분배, 특히 민생부분에 대한 개혁이 이어질 것”이라며 “내년초 정부 조직 개편과 내년 가을 3중 전회 등 여러 회의를 거쳐야 구체적인 경제정책의 그림이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