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박정수 기자= 국내주식형 펀드 수익률이 2주 연속 상승했다.
그리스에 대한 유로존 구제금융 지원합의와 미국 재정절벽 문제 해결 기대감이 증시에 훈풍으로 작용하며 펀드 성과를 끌어올렸다.
2일 펀드평가사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국내주식형펀드 주간수익률은 1.53%로 2주 연속 플러스 수익률을 기록했다.
유형별로 특정 업종이나 섹터지수에 따라 운용되는 인덱스주식섹터가 3.04%의 수익률을 거두며 가장 우수한 성과를 보였다. KOSPI200지수 또는 섹터지수 이외의 특정지수에 따라 운용되는 인덱스주식기타는 2.96%의 수익률을 기록했으며, 코스피200지수에 따라 운용되는 인덱스주식코스피200은 2.13%의 수익률로 뒤를 이었다.
반면, 특정업종이나 섹터에 국한해 투자하는 액티브주식섹터가 -0.54%의 수익률로 가장 부진한 성과를 보였으며, 중소형주에 주로 투자하는 액티브주식중소형이 –0.09%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개별펀드 상위는 자동차 관련주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ETF)가 차지했다.
한화자산운용의 ‘한화아리랑자동차증권상장지수투자신탁(주식)’펀드가 9.15%의 수익률로 가장 높았으며, 미래에셋자산운용의 ‘미래에셋TIGER현대차그룹+증권상장지수투자신탁[주 식]’ 펀드가 8.45%의 수익률로 높은 성과를 보였다. 이어 ‘삼성KODEX자동차증 권상장지수투자신탁[주식]’이 8.40%의 성과를 거뒀다.
ETF를 제외하면 액티브주식테마형인 '우리현대차그룹과함께증권자투자신탁 1[주식]A1' 펀드가 5.21%의 수익률로 가장 높았다.
해외주식형펀드도 0.36%의 수익률로 2주 연속 플러스 수익률을 기록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대만이 4.46%로 가장 우수한 수익률을 기록했으며, 인도(2.37%), 아시아퍼시픽 (ex_J)(1.81%), 친디아(1.62%), 북미(1.48%) 등의 지역에서 플러스 수익률을 기록했다. 이에 반해 중국본토가 -2.55%로 가장 저조한 수익률을 기록했고, 러시아(-1.33%), EMEA(-0.55%), 신흥유럽(-0.50%) 등의 지역에서 부진한 성과를 보였다.
해외주식형 펀드에서는 인도 지역에 투자하는 펀드가 수익률 상위를 차지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의 ‘미래에셋인디아인프라섹터증권자투자신탁 1(주식)종류A’ 가 2.88%의 수익률을 거둬 가장 우수한 성과를 보였다. 이어 ‘미래에셋인디아디스커버리증권투자신탁 1(주식)종류A’ 펀드가 2.70%의 수익률을 기록했으며, 신한BNP파리바자산운용의 ‘신한BNPP봉쥬르인디아증권자투자 신탁(H)[주식](종류A 1)’ 펀드도 2.56%로 2%대 수익률을 기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