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최근 6년간(2006~2011년)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내용에 따르면 가려움증 질환 진료인원은 2006년 28만6595명에서 지난해 38만9881명으로 6년 동안 10만3286명 증가했다.
남성이 2006년 11만9368명에서 지난해 16만4021명으로 연평균 6.6% 증가했고 같은기간 여성은 16만7227명에서 22만5860명으로 연평균 6.2% 늘었다.
지난해 기준으로 연령대별로는 50대가 16.2%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40대 14.6%, 60대 14.2%, 70대 13.3%, 30대 13.1% 순이었다.
가려움증 질환의 최근 6년간 건강보험 진료비와 공단이 부담하는 급여비도 큰 폭의 증가 추세를 보였다.
2006년 105억9100만원이었던 진료비는 지난해 186억2000만원으로 1.8배, 연평균 11.9% 증가했다.
보험급여비는 같은기간 75억8600만원에서 129억6500만원으로 1.7배, 연평균 11.3% 증가했다.
가려움증은 피부신경을 약하게 자극함으로써 발생하며 가장 흔한 피부증상으로 습진성 피부염·두드러기·물집피부염·옴·편평태선·균상 식육종 등에 동반돼 나타난다.
조남준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피부과 교수는 “노인 가려움증이나 겨울 가려움증은 피부 건조가 원인” 이라며 “가려움증이 노인에게 많이 나타나는 이유는 나이가 많을수록 피부 건조증이 심해지고 가려움증이 동반되는 전신 질환들도 나이가 들수록 증가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가려움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보습제를 사용해 피부 건조증을 예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