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년보다 학군 수요의 움직임이 뜸해진 데다 경기 침체로 교육비 지출을 줄이는 경향이 뚜렷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3일 국민은행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 자료에 따르면 11월 마지막주 현재 서울에서 지난해 말 대비 아파트 전셋값이 가장 적게 오른 자치구 1~3위는 노원· 양천· 강남구로 나타났다.
노원구는 지난해 말보다 0.3% 떨어져 25개 자치구 중 유일하게 하락세를 나타냈다. 양천구는 0.3%, 강남구는 0.5% 각각 올라 상승률이 가장 낮았다. 이 기간 서울 전체 아파트 전셋값 상승률은 2.2%다. 전셋값 상승률이 1% 미만인 자치구는 이들 3개구 외에 은평구(0.7%) 한곳 뿐이었다.
중계동(노원구), 목동(양천구), 대치동(강남구) 등 국내 대표적인 학원가를 갖춰 해마다 전세 수요가 많이 유입되는 이들 지역의 전세시장이 안정세를 보이는 것은 매우 이례적인 현상이다.
지난해 강남구 대치동 청실아파트 재건축 이주로 7억원까지 호가하던 인근 선경아파트와 우성아파트 전용면적 84㎡ 전셋값은 최근 5억~5억5000만원 선으로 내려갔다.
박원갑 국민은행 부동산수석팀장은 "예전에는 수능 시험이 어렵게 출제되면 강남 전셋값이 올랐는데 요즘은 EBS 비중이 높아지고 있어 수능 효과가 줄어들고 있다"며 "경기 침체에 따른 교육비 지출 부담이 커져 이 분야 지출을 줄이는 것도 한 원인"이라고 말했다.
교육 요인 외에도 지역별 상황이 이들 3개 자치구의 아파트 전셋값 안정에 큰 영향을 끼쳤다는 평가도 있다.
대치동은 지난해 하반기 청실아파트 재건축 이주 때문에 전셋값이 지나치게 올랐다가 조정되는 과정을 거쳤고, 목동은 대체로 낡은 아파트가 많아 전세 선호도가 예전보다 다소 떨어진 상태다. 또 이들 지역은 지난해 전셋값이 너무 올라 추가 상승할 여력이 없어졌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를 받는다.
박 팀장은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도심 접근성을 따지고 멀리 떨어진 지역을 기피하는 현상이 생기고 있다"며 "우수 교육시설 분산은 이런 현상을 부채질했다"고 말했다.
실제 도심을 비롯 오피스 밀집지역과의 교통이 편리한 △서초구(6.6%) △광진구(4.4%) △송파구(3.9%) △마포구 △용산구(이상 3.7%) △중구(3.4%)가 올해 서울 시내 아파트 전셋값 상승률 1~6위에 올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