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티앙 노이에 프랑스 중앙은행 총재는 2일(현지시간) FT와 인터뷰를 통해 유로 지역의 금융 허브를 역외로 가는 것이 합리적이지 않다고 말했다. 노이에 총재는 “유로 사업의 대부분은 유로존에서 이뤄지고 있다”며 “그럼에도 대부분의 비즈니스는 런던 금융시장에서 진행되고 있다”고 꼬집었다. 영국에 의한 판단은 유로존 밖에서 이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노이에 총재의 발언은 금융 서비스 중심을 도시에서 대륙으로 바꿔야 한다는 의견을 반영한 것이다. 이를 통해 한층 강화된 유로존의 정치 권력으로 런던의 금융서비스 규제를 더욱 요구할 수 있다고 FT는 분석했다.
유럽 장관들은 4일(현지시간) 브뤼셀에서 은행동맹을 위한 ECB의 단일감독기구 감독권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유럽연합 정상들은 역내 은행들을 통합 감독하는 은행동맹을 출범하기로 합의했으며, ECB가 SSM을 통해 유럽은행들을 통합 관리하기로 했다. 그동안 각국 중앙은행들이 자국의 이익을 위해 불협화음을 낸데다 통제도 어려워 통합적이고 일률적인 관리체계가 필요했다. 특히 프랑스는 유로존 금융 안정성을 위해 이같은 정책이 서둘러 진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프랑스와 독일은 은행동맹 대상에 대해선 다른 생각이다. 독일은 주요 대형은행에만 대상으로 하자는 반면 프랑스는 소규모 은행들도 포함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노이에 총재는 소규모 은행들이 더 많은 문제를 안고 있기 때문에 반드시 포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은행동맹은 모든 은행을 커버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쓸모가 없다”고 말했다.
무엇보다 영국을 비롯해 유로존에 속하지 않는 유럽 국가들이 문제다. 자국 은행들 마저 유럽동맹의 감독을 받는 상황이 됐다. 앤드버스 보그 스웨덴 재무장관도 은행동맹이 비유로존 국가에 공정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스웨덴은 은행동맹에 동참할지 아직 결정을 내리지 못했다.
영국의 경우 그동안 금융허브였던 런던의 역할도 축소될 가능성이 높다. 런던에서 세계 40% 이상의 유로 외환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 이는 유로존의 통합 거래보다 많은 수치다. 그동안 영국은 금융 인프라 입지를 지키기 위해 갖은 노력을 했다. 지난해에는 유럽 청산소 위치 결정을 두고 ECB를 제소했었다. ECB가 유로화 표시 금융상품 점유율이 5%를 넘으면 유로존 내 청산소를 둬야 한다고 주장했기 때문이다. 조지 오스본 영국 총리는 유로존에 대한 은행동맹 입장은 선회했으나, 투표권 개혁에 대해선 계속 주장할 것이라고 FT는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