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시는 18일 시민들의 불편사항을 담당 공무원이 사전에 찾아 해결하는 ‘스마트 행정 종합 관찰제’를 전국에서 처음으로 시범사업으로 도입하고 오는 4월부터 제도 운영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이번에 광양시가 도입해 운영에 들어가는 ‘스마트행정종합관찰제’는 공무원이 출ㆍ퇴근이나 출장시에 도로, 교통, 광고물, 환경, 재난예방 등 행정 전 분야에 대해 시민불편사항을 현장에서 관찰해 스마트폰 앱과 업무용 데스크탑으로 등록하면 관련 부서에서 5일 이내에 신속하게 처리하는 서비스다.
시민들의 불편사항이 현장에서 등록되면 시에서 도입ㆍ사용하고 있는 새올행정시스템을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처리하게 돼 생활불편 민원이 신속하게 해결될 전망이다.
이처럼 ‘스마트행정종합관찰제’는 기존 공문서에 의존해 처리해오던 견문 보고 업무를 전자적 처리방식으로 변경하면서 행정업무를 스마트폰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구현한 이른바 ‘스마트 행정 서비스’의 초기단계 시스템으로서 광양시는 앞으로 ‘스마트 오피스’ 업무를 단계적으로 개발해 운영해 나갈 방침이다.
광양시 관계자는 “이번 스마트행정종합관찰제를 시작으로 시범적으로 운영해보고 스마트 오피스 업무를 단계적으로 개발하고 발전시켜 시민이 편리한 민원행정을 구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4월부터 운영에 들어가는 스마트행정종합관찰제 시범사업은 정부가 광양시 등 전국 4개 지자체에서 우선적으로 추진하며, 시범운영이 완료되면 전국 230개 기초지자체로 확대ㆍ운영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