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수품 상용화는 국방 규격을 완화하거나 폐지해 민간기업의 상용품을 군용으로 쓰는 제도다. 일반인을 대상으로 파는 시중의 제품을 군수품으로 쓴다는 것이다.
이로써 민간기업체들의 군수품 조달시장 참여의 활성화될 전망이다. 또 양질의 제품을 저렴한 가격에 구입할 수 있어 예산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재부는 내다봤다.
군수품 상용화는 이미 1990년대 후반부터 진행됐다. 그러나 2010년까지 10여년간 690여개 군수품목을 민간제품으로 대체하는 데 그치는 등 실적이 미흡했다. 이에 국방부가 2011년 ‘군수품 상용화 확대 태스크포스’를 구성, 상용화를 추진한 결과 3800여개 품목을 상용 전환하는 성과를 거뒀다.
이에 대해 기재부는 “군수품 상용전환이 단기성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군수품 사용화를 국방제도개선 과제로 선정해 적극 관리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어 “민간기업이 국방규격에 쉽게 접근하고, 상용화 제안을 활발하게 제시할 수 있도록 올 상반기를 목표로 국방표준종합정보시스템에 일부국방규격서를 공개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