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여우 새끼 CCTV 사진(굴 내부)> |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관리공단(이사장 정광수)은 여우복원사업을 위해 중국서 들여온 여우가 같은 시기 중국에서 들여온 수컷과 교미해 새끼를 출산했다고 27일 밝혔다.
태어난 여우 새끼는 총 3마리나 1마리는 출산 초기 어미가 양육을 포기해 숨졌다. 여우는 일반적으로 3~6마리의 새끼를 출산하며 자체 경쟁, 질병, 성장 지연 등에 따른 초기 사망률이 높은 편이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지난 5월말 어미의 새끼 출산 징후를 확인한 이후 출산 환경 등 어미를 자극하지 않기 위해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으로 관찰했었다. 하지만 어미가 수풀 속 굴을 파고 은신하면서 새끼를 확인할 수 없었으나 지난 6월초 어미 여우가 CCTV 설치 인공굴로 옮기면서 생사를 확인할 수 있었다는 게 공단 측의 설명이다.
현재로써는 새끼 여우의 성별을 구별할 수 없는 상황이다. 출산 초기 여우를 자극할 경우 새끼를 물어 죽이는 습성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기 때문이다.
정철운 국립공원관리공단 종복원기술원 중부복원센터장은 “이번 출산으로 자연상태에서 서식하는 토종여우를 확보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며 “약 2-3주간 안정적으로 수유가 이뤄질 수 있도록 CCTV를 통한 간접 모니터링 후 약 4주가량의 수유기간이 끝나는 6월 말에 어미와 함께 굴 밖으로 모습을 드러낼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