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수현 전문가협의체 위원장은 8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최종 보고서를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에 제출, “우회송전 및 지중화 가능성을 검토했으나 현실적 대안이 될 수 없다는 결론에 도달했다”고 이 같이 밝혔다.
협의체는 위원장을 포함한 9명의 구성원 가운데 6명이 밀양 송전선로의 우회송전이 기술적으로 어렵다고 판단했다며, 고장 발생시 대규모 정전이 불가피하다고 우려했다.
신고리 3·4호기의 경우 기존 선로를 이용하게 되면 고장 충격을 흡수할 수 없어 최악의 경우 전국적인 대규모 정전이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간선노선을 연결하는 방안도 검토했지만 현행 기술로는 아직 어려운 것으로 검토됐다.
협의체는 이처럼 우회송전이 전제되지 않을 경우 지중화도 구체적인 검토를 해야할지 의문이라며 회의적인 시각을 보냈다. 다만 지중화를 위한 구체적인 입지나 비용 등은 가상의 환경을 가정하기 때문에 실제 수행과정에서 가변적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백 위원장은 “현실적으로 밀양 송전탑 건설을 대체할 방안을 마련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한편 한전측은 한전의 자료를 그대로 베껴 보고서를 작성했다는 밀양 주민들의 지적에 “기술적으로 문제가 없다고 판단한 표·그림·데이터를 인용한 것일 뿐”이라고 반박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