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행정부는 21일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8개 중앙부처에서 일반직 7명, 기능직 4명 등 경력직 공무원 11명을 경력경쟁채용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제까지 통일부에서 추천한 사람을 특별임용해 온 방식에서 탈피해 경력직공무원을 경쟁 방식으로 채용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채용예정인원은 고용노동부 3명·공정거래위원회 1명·문화체육관광부 1명 등 일반행정 9급 5명과 식품의약안전처 식품위생 9급 1명, 보건복지부 의료기술 9급 1명, 미래창조과학부 기능 9급 위생원 1명, 안전행정부 1명·농림축산식품부 2명 등 기능 9급 기계원 3명이다.
채용 계획은 각 부처 결원 발생 시기에 따라 7월말부터 11월 사이에 각 부처와 나라일터 홈페이지(gojobs.mospa.go.kr)에 공고될 예정이다.
이번 채용 응시 대상은 가족관계 등록 창설 후 3년 이상 지난 북한이탈 주민으로 각 직무에 필요한 경력과 자격증 등의 응시요건을 갖춰야 한다.
필기시험은 없고 서류심사와 면접이 이뤄진다.
시험실시기관은 시험에 응시한 북한이탈주민의 북한에서의 근무 경력 및 자격 등에 대해 통일부의 확인을 받아야 한다.
또한 최종합격자는 보안·비밀·신상정보 취급을 제외한 직무에 배치될 예정이며 주기적인 보안교육과 멘토링 등 조기에 공직에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채용 예정 직위 중 공정위 행정 9급, 미래부 기능 9급, 농림부 기능 9급 등은 대한민국 국적 취득 후 3년 이상 지난 귀화자도 응시할 수 있다.
김승호 안전행정부 인사실장은 "그간 북한이탈주민이 계약직·기간제 형태로 채용됨에 따라 신분불안 등의 문제가 있어 국가공무원법을 개정해 경력직공무원으로 채용할 수 있도록 제도가 개선된 만큼 앞으로도 북한이탈주민들의 공직 채용이 확대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올해 6월을 기준으로 북한이탈주민 경력직 공무원은 국가직 12명과 지방직 1명 등 총 13명이다.
지방자치단체의 경우 지난 해 12월 경기도가 경력직공무원 경쟁을 통해 북한이탈주민을 지방행정 8급으로 최초 임용한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