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3일 오후 2시 안암동 고려대학교 자연계캠퍼스 미래융합기술관 1층 강당에서 금융보안교육연구센터 주최로 '공인인증서의 개선방향’에 대한 끝장토론이 개최된다. 토론회는 이동훈 정보보호대학원 부원장이 공인인증서의 현안에 대해 발제 후 패널토론으로 이어질 예정이다.
패널토론에는 이동산 페이게이트 이사, 김영대 충남대학교 고수, 배대헌 경북대학교 교수, 이정현 한국인터넷진흥원 박사 및 금융감독원 관계자 등이 참석할 계획이다.
이경호 금융보안교육연구센터 센터장은 "공인인증서에 대한 논란을 가장 객관적으로 조명할 수 있는 기관은 학계라는 주변의 요청으로 이같은 자리를 마련하게 됐다"며 "이번 기회에 공인인증서에 대한 논란이 잘 정리돼 오는 9월 정기국회에서 법안이 합리적으로 완성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공인인증서는 지난 1999년 국내 첫 도입돼 현재까지 약 3000만건이 발급된 일종의 사이버 주민등록증이다. 인터넷 뱅킹이나 증권거래 등 각종 전자금융거래에 쓰이며 온라인으로 조달·세금·보험·어음을 처리할 때도 이용된다. 병무청 업무나 주택청약 등에까지 쓰이는 등 사이버 세상에서 본인 인증 시 사용된다.
하지만 최근 엑티브엑스 설치 등으로 인해 공인인증서가 해킹에 취약하다는 지적이다. 이 같은 불만은 지난 5월 최재천·이종걸 민주당 의원이 전자금융거래법과 전자서명법 개정안을 발의에 이어지며 공인인증서의 존폐 여부에 대해 논란이 들끊고 있는 상황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