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고위관계자는 "(비핵화와 관련한) 북한의 구체적인 입장에 대해 알지 못하는 부분이 많다"며 "북한 입장을 더 파악해 대화 재개 여건이 조성될 수 있는지 판단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우리와 가까우면서 북한과 대화하는 국가들을 통해 북한 입장을 파악할 수 있다"면서 "현재로서는 중국을 통한 방법이 제일 중심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중국의 역할론을 강조했다.
이는 우리 정부가 북한의 진정성을 판단하기 위해 비핵화에 대한 북한의 의지를 대화 재개의 판단 잣대로 삼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이 당국자는 "비핵화를 위한 진전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지금이라도 6자회담 개최가 가능하지만 그렇지 않다면 가능하지 않다"면서 "6자회담 개최는 시기보다는 내용의 문제"임을 분명히 했다.
그는 최근 한·러 6자회담 수석대표간 접촉에 대해서 "러시아는 '대화를 위한 대화는 안 된다'는 우리측 입장에 똑같은 입장이라고 강하게 호응했다"면서 "러시아는 북한 핵무기 보유를 절대로 용인할 수 없다고 말한다"고 전했다.
아울러 "최근 남북관계 진전이 북핵 6자회담 재개를 위한 환경에 간접적으로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북한이 남북협력이 진전되는 방향으로 정책을 펴는 것이 이익이 된다는 점을 깨닫는다면 핵을 포기하고 국제사회 비핵화 요구에 발맞추는 것도 이익이 된다고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간접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