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신한은행은 지난달 취급한 주택담보대출(분할상환식)의 가산금리로 신용도 1~3등급에는 0.99%, 7~10등급에는 1.56%를 각각 적용했다.
가산금리는 은행이 자금조달 비용 등으로 계산된 기본금리에 마진과 상환 가능성 등을 고려해 얹는 금리다. 기본금리에 가산금리가 붙어 대출금리가 정해진다.
신한은행의 주택대출 가산금리는 지난 2월 1~3등급은 0.98%, 7~10등급은 1.14%였다. 1~3등급 가산금리를 거의 그대로 둔 채 7~10등급에서 0.42%포인트를 더 받았다.
이에 신한은행 관계자는 “해당 기간에 서민지원대출인 새희망홀씨 등의 저신용자 대출을 많이 취급해 평균 가산금리가 올라갔다”며 “특정 고객에게 가산 금리를 인위적으로 올리거나 하지는 않는다”고 설명했다.
소매금융에서 국내 1위인 국민은행은 1~3등급의 주택대출 가산금리를 올해 2월 0.86%에서 지난달 0.51%로 0.35%포인트 낮췄다. 이 기간 7~10등급 주택대출의 가산금리는 1.17%에서 0.90%로 0.27%포인트 낮아지는 데 그쳤다.
농협은행도 1~3등급 주택대출 가산금리를 1.10%에서 0.82%로 0.28%포인트 낮추는 사이 7~10등급 가산금리는 1.14%에서 1.04%로 0.10%포인트만 낮췄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경기가 나쁠 때는 저신용층의 대출상환 능력이 약해지기 마련”이라며 “이들이 가산금리에서 불이익을 받기 쉽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