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은 한-브라질 경제협력위원회 정준양 위원장(포스코 회장)과 철강, 자동차, 건설, 금융업계 대표 등 40여명으로 구성된 경제대표단을 상파울루에 파견하고 9일(현지시간) 오전 양국 경제인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브라질경제인연합회(CNI)와 공동으로 한-브라질 비즈니스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정 위원장은 비즈니스포럼에서 “브라질은 브릭스(BRICs) 국가 중 두 번째로 큰 시장 규모를 지니고 있고 우리나라와 상호보완적 산업구조를 감안할 때 향후 중국을 이을 최고의 협력 파트너가 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이는 한국이 철강, 자동차, 건설·인프라 분야에서 높은 기술과 경험을 보유한 반면 브라질은 세계적 철강, 자동차 생산국인 동시에 중남미에서 제조업 기반이 가장 발달한 국가이기 때문이다.
작년 말 기준으로 브라질은 우리나라의 대중남미 전체 교역액의 약 30%를 차지하고 있으며 포스코, 현대자동차, 삼성전자, LG전자 등 상당수 기업들이 브라질에서 생산시설을 가동하고 있다. 포스코의 경우, 전체 연간 철광석 소요량의 22%에 해당하는 약 22억달러를 브라질에서 구매하고 있다.
진의환 현대자동차 브라질법인 이사는 주제발표를 통해 두원, 화신, 명신 등 8개 국내 중소기업과 브라질에 동반진출, 21개 브라질 현지 업체와 협력관계 유지로 양국 중소기업들과의 동반성장에 앞장서고 있다고 밝혔다. 진 이사는 현대차가 지금까지 브라질 현지에 약 2800명의 일자리를 창출해 현지사회로부터 찬사를 받고 있다고 했다.
엄치성 전경련 본부장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양국의 경제규모에 걸맞는 협력관계 마련을 위해서는 우리의 개발경험을 브라질에 전수하는 지식공유프로그램(KSP)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특히 지금까지의 정부대정부(G2G) 사업 위주에서 벗어나 특정 산업에서 한국 기업들의 개발경험과 경영 노하우를 브라질 정부나 기업에 전수시켜 주는 이른바 기업대정부(B2G) 또는 기업대기업(B2B) 사업을 추진하면 우리 기업들이 현지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발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