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硏 "뿌리산업, 에너지 의존성이 성장 걸림돌"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3-12-27 11:19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 국내 뿌리산업, 전후방연쇄효과 모두 커…뿌리산업 경쟁력 선진국 대비 낮은 수준

아주경제 신희강 기자 = 뿌리산업이 전후방 산업파급효과가 매우 크고 제품경쟁력의 핵심요인으로 작용하지만, 에너지 의존성이 성장의 걸림돌이라는 조사결과가 발표됐다.

27일 산업연구원(김도훈 원장, KIET)이 발표한 '미래산업의 열쇠, 뿌리산업' 보고서를 보면, 뿌리산업을 다른 제조업과 비교했을 때 전후방 연쇄효과 모두 높은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국내 뿌리산업의 생산이 10억원 증가할 경우, 총생산유발효과는 20억4000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했다. 특히 전방효과가 높은 산업은 기계 및 전기전자, 화학산업 등의 주력산업인 반면, 후방효과가 높은 산업은 전력, 가스와 석유·석탄 등의 에너지 관련 산업인 것으로 조사됐다.

뿌리산업의 전방 및 후방 파급효과를 전산업 평균과 대비하여 조사한 결과, 뿌리산업의 전방 파급효과가 후방 파급효과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전방산업 파급효과는 2.55로 전기·전자(1.27)와 일반기계산업(0.76)과 비교하여 2배 정도 높은 수준이며, 후방 파급효과는 1.38로 전기·전자(1.26)와 일반기계 산업(1.23)을 상회하는 수준을 보였다.

보고서는 국내 뿌리산업이 전기·전자 등 주력산업에 대한 높은 전방파급효과로 인한 긍정적 효과 이외에도, 전력 및 가스, 석유, 석탄 산업에 대한 높은 후방파급효과를 나타낸다고 지적했다.

전력이나 가스, 석유, 석탄 산업에 대한 의존도는 뿌리산업이 주요 원자재로 활용하는 광산품산업을 제외한 전체 산업 중 35% 수준에 달해 뿌리산업의 높은 에너지 의존성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에너지산업의 높은 의존성은 뿌리산업의 장기적 성장에 걸림돌로 작용한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보고서는 기술 수준이 독일·미국·일본 등 주요 선진국에 비해 크게 미흡한 점도 문제점으로 꼽았다. 실제 명품 제조로 유명한 독일의 자동차부품산업(보쉬 등)이나 스위스의 시계산업(롤렉스 등), 미국의 항공산업(보잉 등) 등이 세계 최고수준을 유지하게 된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오랜 기간 축적된 뿌리기술의 뒷받침이 있었기 때문이다.

아울러 국내 제조업 발전의 튼튼한 기둥 역할을 해왔음에도 ‘3D 업종’이라는 인식과 함께 사양산업의 이미지가 각인된 것도 개선해야 할 점이라고 보고서는 전했다.

김성훈 산업연구원 김상훈 연구위원은 “뿌리산업 강국과의 경쟁을 위해서는 뿌리산업별 역점기술을 탐색하여 선진국과 차별화되는 전략이 요구된다”며 “기술적 측면에서는 밸류 체인을 감안한 기술 시스템화와 6대 뿌리산업이 상호 협력해 발전할 수 있는 복합적 연계 개발 로드맵 구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