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못' 뽑힌 새해 첫 주말 주택시장, 강남권만 '온기'

각종 규제 '대못'이 빠진 새해 부동산시장에 기대감이 상승하고 있다. 사진은 강남구 도곡동 도곡렉슬 단지 전경. [아주경제DB]


아주경제 권경렬 기자 = 수직증축 리모델링 허용,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폐지, 취득세 영구 인하 등 주택시장의 '대못'이 뽑힌 새해 부동산시장에 기대감이 충만하다. 단 시장 침체가 지속되고 계절적 비수기인 겨울인 만큼 지역별로 온도차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는 분위기다.

서울 강남권의 경우 호가(집주인이 부르는 값)가 상승하고 문의전화도 몰리고 있지만 큰 수혜를 입지 않은 강북권은 아직 잠잠하다. 전문가 사이에서도 서서히 정책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는 의견과 이미 규제 완화의 시기를 놓쳤다는 지적이 엇갈리고 있다.

◆"규제 다 풀렸다"…들썩이는 강남권

새해 첫 주말인 지난 5일 서울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 및 경기도 분당신도시의 공인중개업소들은 수시로 걸려오는 문의 전화로 바쁜 하루를 보냈다.

서울 도곡동 도곡렉슬 인근 씨티공인 관계자는 "주말 동안 다른 매물의 호가를 확인하는 집주인들의 전화가 여러통 왔다"며 "기존에 다소 저가에 집을 내놨던 몇몇 집주인들은 호가를 시세에 맞춰 올려달라고 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이 아파트 전용면적 84㎡형은 지난해 말 11억원선에 거래됐지만 새해 들어 일부 집주인들이 호가를 올리면서 11억5000만~12억원까지 뛰었다.

잠실동 리센츠 전용 84㎡형은 지난해 말까지 9억원 이하에 거래됐지만 새해 들어 9억4000만원짜리 매물도 나왔다.

인근 대광공인 관계자는 "주말 동안 수요자들의 문의전화도 여러통 왔고, 그 중 한명은 집을 둘러본 뒤 계약서를 썼다"며 "매물이 대부분 9억원을 넘어가면서 9억원 이하 급매물은 비교적 금방 새주인을 찾는다"고 말했다.

수직증축 리모델링 허용의 영향으로 리모델링을 추진하고 있는 지역에도 기대감이 상승하고 있다.

리모델링 추진위원회를 구성하고 있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 느티마을 공무원 4단지 전용 66㎡형은 새해 들어 1000만원 오른 4억7000만원까지 호가가 올랐다.

인근 대명공인 관계자는 "지난해 수직증축 허용 이후부터 꾸준히 문의하는 수요자들이 여럿 있다"며 "리모델링 추진 상황과 수익성 등을 묻는 전화도 많이 받았다"고 말했다.

◆"전세 문의만…매매는 글쎄" 조용한 강북권

성북·강북·노원·도봉구 등 집값이 강남권에 비해 낮은 강북권 주택시장은 비교적 잠잠했다.

중계동 주공5단지 전용 84㎡형의 경우 지난해 말 호가가 4억7000만원까지 올랐지만 실제 거래는 4억5000만원 미만에 이뤄지고 있다. 그나마도 아직 올해는 성사된 계약이 없다.

인근 현대공인 관계자는 "문의전화는 여러통 오고 있지만 아직 매수문의는 별로 없고 대부분 새학기에 앞서 이사하려는 전세수요자들"이라고 전했다.

이 지역은 수직증축 리모델링이나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폐지보다는 취득세 영구 인하가 직접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것이 인근 공인중개사들의 설명이다.

길음동 길음뉴타운 2단지 푸르지오 전용 59㎡형은 지난해 말 호가가 2000만원 올라 3억2000만원까지 뛰었지만 이 가격에 거래된 사례는 없다.

인근 대우공인 관계자는 "지난해 말 일부 집주인들이 호가를 올리긴 했지만 당장 팔 생각이 없는 사람들이고, 실제 매도 의사가 있는 집주인들은 2억9000만~3억원선에 내놓는다"며 "그나마도 문의가 별로 없어 거래가 활발하게 이뤄지진 않고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 "정책 실기" vs "점차 회복"

전문가들은 새해 주택시장을 놓고 의견이 분분하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전문위원은 "일부 세제혜택 종료와 계절적 비수기로 인한 거래 감소 현상은 있겠지만 주요 규제들이 대부분 완화되면서 예년과 같은 거래절벽까지는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며 "정책적 불확실성이 제거돼 주택거래 심리가 살아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동안 주택시장을 옥죄던 대못들이 뽑혀 점차 회복될 것으로 보는 반면 국회의 문턱을 넘지 못해 각종 정책들의 통과가 늦어져 실기했다는 평가도 있다.

고종완 한국자산관리연구원장은 "정부가 거래활성화를 위해 내놓은 정책들이 함께 맞물려 효과를 봤어야 했는데 취득세 영구 감면,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등의 국회 통과가 늦어져 시기를 놓쳤다"고 설명했다.

함영진 부동산114 리서치센터장은 "정치권에서 부동산 회복의 신호를 보여줬다는 점에서는 긍정적인 요인으로 볼 수 있지만 거래활성화의 마중물 정도의 역할에 지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