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경량 칸막이를 아시나요?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01-07 10:2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사진=의왕소방서 임광식 예방민원팀장)


의왕소방서 소방행정과 예방민원팀장 임광식

얼마전 부산의 한 아파트에서 화재가 발생해 집안에 있던 일가족 네명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사망한 어머니는 마지막 순간까지 어린 자식들을 보호하기 위해 끌어 안은채 발견되어 많은 사람들의 눈시울을 붉게 만들었다.

이 뉴스를 처음 접했을 때 소방관으로서 아쉽고 안타까운 마음이 더욱 컸다. 왜냐하면 1992년 7월 이후 지어진 아파트 발코니에는 유사 시 피난할 수 있도록 경량칸막이가 설치돼 있다. 경량칸막이란 발코니의 한쪽 벽면을 석고보드 등 쉽게 부술 수 있는 재질로 만들어진 피난구다. 이들 가족이 경량칸막이의 존재를 알고 있었다면 참사는 면할 수 있지 않았을까 하는 안타까움이 진하게 남는다.

이 같은 가슴아픈 사고가 반복되지 않기 위해서는 소방관서의 노력 뿐만아니라 시민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평소 소방안전에 관심을 갖고 기본적인 안전상식에 관심을 가진다면 내 가족과 주변사람들이 좀 더 안전한 삶을 영위할 수 있다.

그렇다면 소방안전상식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소방관으로서 시민들이 알았으면 하는 안전관련 상식을 나열하자면 끝이 없지만 그 중 가장 중요한 세가지를 꼽자면 바로 ‘소소심’이다. 소소심이란 소방방재청에서 정한 반드시 국민들이 알았으면 하는 소방안전상식으로 첫째 소화기 사용법, 둘째는 소화전 사용법, 마지막으로 심폐소생술이다.

수많은 소방안전교육에서 많은 사람들에게 교육한 상식 중의 상식이지만 우리나라 국민들이 긴박한 재난상황에서 능숙히 행동에 옮길 수 있을까란 물음에 ‘네’ 라고 자신있게 대답하긴 힘들다. 안전행정부에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급성심정지 발생자 2만 7823명 중 심폐소생술이 시행된 비율은 6.5%로 스웨덴 55%, 미국 30.8%, 일본 27%에 비해 턱없이 낮게 나타났고 한다.

모든 학습이 그렇겠지만 특히 소방안전교은 교육을 받는 대상의 참여 의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재난에 대처하는 상식이란 단순히 알고 있는 지식만으론 제 역할을 하기 힘들고 몸에 배여 무의식중에 나올 수 있도록 훈련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전국 소방관서에서는 지난해 11월부터 ‘소소심’알리기에 힘쓰고 있다. 각 소방서에서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캠페인과 홍보활동을 지속 실시하고 있다. 특히, 의왕소방서에서는 소방안전체험관을 활용해 체험을 통해 배울 수 있는 실용적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나와 내 가족의 안전을 위해 주변 소방서를 찾아 기본적인 소방안전상식을 배워보는 것은 어떨까 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