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미래부에 따르면 지난해 1개 시범 과제인 나노 폭탄 연구개발을 진행했던 민군 원천기술 개발사업을 올해 본격적으로 시행하고 기존 과제와 함께 5개 과제를 신규로 진행해 한 과제당 5억원씩을 투입한다.
나노폭탄이란 불이 붙는 금속 등의 물질을 나노 형태로 잘게 쪼개 폭발력을 키우고 제어하기 쉽게 해 폭발물이나 엔진 추진체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올해에만 미래부는 민군 원천기술 개발 사업(융합기술과 담당)에 30억원, 출연연의 민군 연구개발 협력 사업(연구기관지원팀)에 50억원, 방사청과 공동으로 진행하는 다목적실용위성 개발(우주기술과)에 36억원, 군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IT융합 협력(SW융합과)에 57억원 등을 투입하기로 했다.
미래부는 7일 이같은 민군 연구개발 협력 사업들의 부처내 연계를 강화하기 위해 융합기술과가 부처내 콘트롤타워 역할을 하도록 결정했다.
부처내 민군 연구개발 협력 사업의 책임 주체를 명확히 해 각 사업별로 시너지를 내면서 긴밀한 협력을 강조하기 위해서다.
그동안에는 부처내 민군 협력에 대한 명확한 책임 주체가 없다보니 산발적으로 진행되면서 무게가 실리지 못했다는 반성에서 나온 조치다.
이처럼 미래부가 민군 연구개발 협력을 강화하고 있는 것은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해 국방 연구 분야에서도 연구개발 투자 강화하면서 국방과학과 민간 기술이 긴밀히 연계해 시너지를 낼 것을 주문하고 있기 때문이다.
민간의 우수한 기술을 군에 적용해 파급효과를 높이고 군 개발 기술의 민간 활용을 통한 시너지를 내야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기존에는 군용기술 연구개발 성과가 나오더라도 군에서 실제 극한 상황에서 쓰이기 위해서는 대규모 상용 투자를 통한 추가 연구가 진행되지 못하면서 사장되는 경우가 많았지만 방위사업청과 국방과학연구소(ADD)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수요를 조사하고 이에 부응해 상용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 미래부의 복안이다.
미래부는 앞으로 국방부와 연계를 강화해 사업기간 5년 중 마지막 2년이나 3년은 상용기술 가능성을 높이는 연구개발에 주력하는 등 연구 성과가 사장되지 않도록 사업을 설계할 계획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방사청, ADD와 긴밀히 협력해 전력 수요에 부응할 수 있도록 민군 연구개발 협력을 강화할 예정”이라며 “부처내에서도 사업간 시너지를 높이고 성과가 사장되는 일이 없도록 민군 연구개발 협력 콘트롤타워 기능을 강화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